제목 그대로 PSIP 과 SI 의 관계를 설명한다. 첨 보았을 때, 두개가 무지 달라보이지만, 알고 보면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두개가 사용되어지는 상황은 다르다.
상황별로 PSIP 과 SI 를 설명하겠다.
POD 가 없는 STB 에서는 스트림을 볼 수 없을 까?? 답은 볼 수 있다. 왜냐하면 PSIP 이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로 신호들이 들어온다. 튜너인 3125 에서는 in-band 와 out-of-band 를 튜닝한다. 튜닝을 하면, STB 는 신호에서 PAT 와 MGT 를 파싱한다. 각각
파싱한다. 여기서는 PAT 만 파싱을 해도 스트림을 보는 데는 지장이 없다. 단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나 그 외에 특정 설정을 보기 위해서는 MGT 를 파싱해야만 한다. 파싱되어 저장된 DB ㅇ
다시 말해 PSIP 으로 인해서 POD 가 없이도, 스트림이라든가, 프로그램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POD 가 있는 경우에는 PSIP 은 필요가 없다. OOB 채널로 SI 정보가 들어오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PSIP 이 가지고 있는 정보는 SI 정보에도 있다고 보면 된다.
어찌 보면, 튜너가 보내주는 동일 신호를 TSIN_1 으로 보내주느냐 또는 TSIN_2 로 보내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TSIN_1 은 POD 가 없을 때 보내주는 것이고, TSIN_2 는 POD 가 있을 때 보내준다.
케이블로 부터 들어 오는 신호는 총 여러가지 신호가 있다. 그중에는 QAM 방식의 inband 채널도 있고, QPSK 방식의 oob 채널도 있다.
이때 POD 가 없으면, 각 채널의 정보를 가져 오기 위해, PSIP 이 ISO/IEC Sections 의 PAT, CAT, PMT 를 파싱한다. 이때에 SI table 도 포함되어 있지만, POD 가 없기 때문에 파싱하지 못한다.
이때 POD 가 있으면, ISO/IEC 쪽이 아닌 SI Table 을 파싱한다. 그래서 각 채널의 정보를 뽑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