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WiFi 기반의 IP 카메라를 조사한 내용을 정리했다.
구글에서 검색해본 결과, 거의 대부분 중국 제품이 대다수였다.

그 중에 국내에서 만든 제품을 찾을 수 있었다.

타사 제품 스펙

대략 평균적인 Spec 은 다음과 같다.

제조사 및 모델명 새빛마이크로 VIJE IP-2000HW
비디오압축 H.264 와 MJPEG 멀티프로필
비디오해상도 2M 픽셀 - Up to 15 fps @ 1600×1200(H.264), 720P 모드 - 모든 해상도에서 최대 30프레임
오디오압축 RTSP - G.711, G.726, 3GPP - AMR
카메라모듈 CMOS 센서, AWB/AES, 저속 셔터 지원, EEL - 4.3 mm
WiFi802.11 b/g/n

WEP & WPA WPA2 부호 매김

WiFi 기능 시나리오

타사 제품 벤치마킹

타사 WiFi IP 카메라를 직접 사용해보고 벤치마킹했다. 제조사 및 모델명은 Hunt Electronic 의 HLC-84AM/W 이며, 대략적인 스펙은 다음과 같다.

  1. 1.3 Mega-Pixel CMOS Sensor @ 15fps
  2. H.264/ JPEG / MPEG4 compression
  3. 2-way audio
  4. Triple Streaming
  5. Wireless 802.11 b/g (Security : WEP, WPA-PSK, WPA2-PSK)
  6. SDKfor Software Integration
  7. Support iPhone/ Android / Symbian/ Blackberry
  8. Free Bundle 36 Channel Recording Software
  9. Compatible with ONVIF standard

자세한 스펙은 hlc-84am-w.pdf 에서 볼 수 있다. http://www.hunt.com.tw/English/Products/IPsecurity/items/boxIPcam.html 에 가면 이 회사 제품들에 대한 스펙을 볼 수 있다.
대만 회사인데, 이쪽 분야에서 기술력을 가진 회사인 것 같다.

네트워크 및 WiFi 설정 화면

네트워크 설정을 하는데, 고생을 했다. 일반적인 엔드 유저가 볼때, 사용편의성만 따져보자면, 낙제점에 가깝다.

IP 설정


랜선을 꼽았을 경우에는 이더넷 네트워크 설정이고, WiFi 로 어딘가 AP 에 접속했다면, 무선 네트워크 설정이다. 여러 항목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동(Dhcp) or 수동(Static)' 이다.

WiFi 설정


처음에 이 화면에서 어떻게 설정을 해야 하나 고민했었다. AP 스캔을 따로 하지는 않고, 이 페이지에 들어올 때만, 스캔한 값을 뿌려주는 것 같다. AP 마다 뿌려진 정보들을 가지고 아래 설정창에 입력을 하는 방식인데, 문제는 설정을 한후 'Apply' 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 부분에서 상당히 난감했다.
다른 설정 페이지들에 비해 로딩되는 시간이 7~8초 정도 걸렸다. 아무래도 AP 스캔 후 결과값을 받아오는 시간 때문일 것이다.

설정 항목 설명 의견
MAC Address Wi-Fi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일반적인 상태에서는 필요없을 듯 하지만, 원격툴에서 MAC 주소로 구분을 한다면 필요할 것이다
Mode 일반 AP 접속모드와 Ad-hoc 모드로 구분된다 Ad-hoc 사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삭제하는게 좋겠다
Operation Mode 11g 나 11b 또는 Auto 를 선택한다 AP 접속 동작에서는 필요없는 옵션이다
SSID 접속할 AP 의 이름을 입력 입력글자 수 제한이 필요하다(표준 스펙을 확인할 것)
Security 암호화를 선택하는데, None/WEP/WPA-PSK/WPA2-PSK 를 지원한다 그대로 적용하면 되겠다

AP 리스트의 한 SSID 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설정값이 입력 창에 입력되도록 해야 한다.

보안 방식(NONE)

위의 그림처럼, 암호를 NONE 을 선택하였을때, 별도의 입력창 생성없이 SSID 만 입력하도록 한다.

보안 방식(WEP)

WEP 를 선택할 경우, 세부 입력창들이 생긴다. WEP 의 경우, 입력방식(64/128 bit, HEX/INT)을 지정할 수 있다.

설정 항목 설명 의견
Authentication OPEN 과 Shared 를 선택할 수 있다 필요할 것 같다
Encryption 64 bit 와 128 bit 를 선택할 수 있다 필요할 것 같다
Key Type HEX 와 ASCII 를 선택할 수 있다 필요할 것 같다
Key 1~4 암호키 값을 입력할 수 있다 필요할 것 같고, 각 타입에 따른 키값 갯수에 대한 제한이 필요할 것이다(검토필요)

보안 방식(WPA-PSK/WPA2-PSK)

WPA-PSK 와 WPA2-PSK 모두 세부 입력창은 동일하다. AES 와 TKIP 방식 각각의 인증 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설정 항목 설명 의견
Encryption TKIP 과 AES 를 선택할 수 있다 필요하다
Pre-Shared Key 암호키를 입력할 수 있다 키입력 문자 갯수에 대한 제한이 필요하다(확인필요)

WPS

IP 카메라의 경우, PBC 모드만 지원하고 있다.
현재 보드에 나와있는 버튼을 수 초간 누르고 있으면, 자동으로 WPS PBC 모드로 동작하게끔 한다. WPS 관련 모드를 웹서버에 띄울 필요는 없어 보인다.

WiFi 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1. WiFi 설정 메뉴에서 접속할 AP 에 맞게 설정을 하고, IP 설정을 Dhcp 로 설정한다.
  2. 전원을 뺐다가 꼽는다.
  3. 랜선을 제거한다.
  4. 설정한 공유기에 접속할 것이다. 이때 접속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의 로그를 살펴봐야 한다.

의문점

왜 유선과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따로 할 수 있게 하지 않았을까?

IP 카메라로서는 유선과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테스트할 결과, IP 설정 페이지에서 한 설정값은 유선과 무선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IP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했을 때, IP 주소대역만 맞으면, 유선이든 무선이든 외부와 통신이 가능했다.

유선/무선 인터페이스 간 Switch

테스트한 결과, 유선이 우선순위가 높다. 유선과 무선이 둘다 연결 가능하다면, 유선으로만 Dhcp 통신을 하고,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
유선랜이 빠지면, 무선으로 접속시도를 하여, 역시 Dhcp 및 외부와 통신을 한다.
이후 다시 유선랜을 꼽으면, 무선은 끊기고, 다시 유선으로 통신을 시도한다.

Soft AP 모드에서 다른 AP 로 접속할 수 없는가?

Factory 리셋이후, Soft AP 로 동작하면서 AP 스캔을 하고, AP 에 접속할 수 없는가?

WiFi 설정 화면(새빛 마이크로)

현재 시장에서 가장 많이 나와 있는 제품 중에 새빛 마이크로에서 나온 제품이 가장 많다. Wi-Fi 제품의 메뉴얼은 아래에서 받을 수 있다.

vije_ip-350w_series_manual_kr.pdf

vije_ip_series_manual_kr-2012-04.pdf

802.1x 대응 제품

아이디스(MNC 모델)

AXIS(M1004-W)

지원하는 인증 방식 아래와 같다. 해당 제품 메뉴얼에서 발췌했다.

  1. WPA/WPA2-PSK
  2. WPA/WPA-Enterprise
  3. EAP-TLS
  4. EAP-PEAP/MSCHAPv2
  5. WEP
  6. No Security

AXIS 215 PTZ 60HZ 제품의 해당 메뉴는 아래 그림과 같다.

PPPOE

IP 카메라에 PPPOE 기능 추가를 위한 사전 검토로서 타사 제품들의 해당 기능 UX 를 수집했다.

HIK VISION(IP 카메라)

IDIS(IP 카메라)

종류 : 네트워크 접속 시 사용하는 네트워크 종류를 선택합니다. 설정 변경 시 현재 설정을 모두 적용한 후 원격 설정이 종료됩니다.

  1. 수동설정 - 고정 IP 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선택하며, 관련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DHCP - DHCP 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선택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등의 네트워크 정보를 자동으로 받아옵니다.
  3. ADSL(with PPPoE) - ADSL 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선택합니다. ADSL 접속을 위한 ID 와 암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ADSL 에 로그인하여 IP 주소등의 네트워크 정보를 자동으로 받아옵니다.

ETROVISION(IP 카메라)

IPTIME(유무선공유기)

NETIS(유무선공유기)

3COM(유무선공유기)

Maximum Idle Time 에는 'forever, 1/2/5/10/30/120 분' 을 선택할 수 있다.

결론

유무선 공유기에 비해 IP 카메라의 UX 가 좀 더 단순하게 구현되어 있다. 연결할 네트워크 종류의 하나로서, PPPOE 를 선택하면, ISP 에 등록된 ID, Password 를 입력하고 저장을 누르면, 입력한 데이터로 접속을 시도한다.
입력창에는 ID 와 비밀번호 뿐이다.

유일하게 IPTIME 공유기에는 '연결 유지 설정(LCP)' 라는 메뉴가 있는데, 아마도 ISP 에 따라서 설정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는 것 같다. 실제, 인터넷이 주기적으로 끊기고 불안정한 경우에는 이 설정을 비활성화하라고 제조사 측에서는 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