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Network 환경에 따라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조절하여 어느 정도 수준이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네트워크 기능에 있어서 성능의 좋고 나쁨을 따지자면, 열악한 환경에서도 끊김없이 해당 컨텐츠를 보여주는지 여부라고 판단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것이 어느 한 개로 정해질 수 없는 것이기에 여기서는 특정 장비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환경이 안 좋아졌을 때 나타날 수 있는 Factor 를 조절해가며, 증상을 확인할 것이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DLNA 서비스를 실행하여 동일한 Stream 으로 재생했을 때, 타사 세트와 비교하여 Loading 메세지가 몇 번 뜨는 지 여부로 확인한다.
타사 세트(SS)의 경우, 실제 코드를 보거나 또는 Endpoint 같은 Tool 을 Built-in 할 수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이 DLNA 의 동일한 조건 하에 확인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다.
구축 순서는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SHUNRA' 라는 장비를 사용할 것이다. 겉보기에는 일반 Switch Hub 처럼 생겼지만, 가격은 6000 만원 정도 한다. 이 테스트를 진행할 시에는 DQA 의 이수웅 과장으로부터 이 장비를 대여했다.
장비 말고도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것 역시 함께 대여했다. DQA 에서 만든 Stream 파일을 복사해야 한다. 용량은 8G 정도되고, Bit rate 이 20Mbps 로 일정하게 재생되는 파일이다.
테스트를 위해서는 최소 1대 이상의 별도의 PC 가 필요하다. Control PC 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SHUNRA 장비를 Control 하는 역할을 한다. 차후에 이 PC 로 여러가지 Factor 를 조절할 것이다.
나의 경우, Desktop PC 1 대를 대여했다. 여기서 앞서 대여한 S/W 를 설치했다. CD 는 총 2 장인데, 먼저 MS Office Visio 를 설치한다. 그리고 VE Modeler 를 설치한다.
유의할 점은 Control PC 의 IP 주소를 '192.168.1.200' 으로 설정한다. 이 PC 는 SHUNRA 장비와 Lan 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SHUNRA 장비의 IP 주소는 '192.168.1.100' 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타사와 우리 세트를 비교할 것인데, 각각 DLNA S/W 가 다르다. 여기서 DLNA 서버는 나의 개인 노트북으로 사용한다. Nero 와 PC Share Manager 를 설치한다. 그리고 복사해온 Stream 파일을 복사하고 파일의 경로를 S/W 에서 Sink 맞추도록 한다. 테스트 시에는 두 개의 S/W 를 모두 Start 시킨다.
본격적으로 연결을 해야 하는데, 아래그림 처럼 연결한다.
Control PC 에서는 VE Modeler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이후 'Start Emulation' 을 실행하면, SHUNRA 장비의 IP 주소를 묻는데, '192.168.1.100' 를 적어주면 된다.
테스트를 위한 모든 준비는 끝났다. 일단 가장 먼저, 기본(아무런 Factor 값도 주지 않은 상태)조건에서 재생이 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WAN Cloud' 라는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우리가 원하는 Factor 들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나온다.
Factor | 설정 경로 | 비고 |
---|---|---|
Delay | Fixed Latency | 값이 높을 수록 환경이 안좋아짐 |
Jitter | Uniform Distributed Latency → Standard Deviation | 값이 높을 수록 환경이 안좋아짐 |
Packet Loss | Periodic Loss | 값이 작을 수록 환경이 안좋아짐 |
Random Loss | Random Loss | 값이 높을 수록 환경이 안좋아짐 |
Out Of Order | Packet Effects | Chance 와 Min/Max 값을 동시에 변경해주어야 함 |
위의 Factor 들 중에 Out of order 을 제외한 나머지는 테스트 실시간으로 값을 수정하여 반영할 수 있다. 하지만 Out of order 는 Stop 을 시키고 값을 수정하여야 반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