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년에 최소 한 개이상 국내출원 수준의 특허를 내야 한다. 문득 문득 떠오르는 특허가 될 만한 아이디어들을 정리했다.

2009 年

각종 여러 장치들 (USB 키보드등)을 특정 디바이스를 통해 TV 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

네트웍 TV가 활성화됨에 따라, TV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TV에서 많은 디바이스를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그래서 여러 디바이스들 연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면 PC)를 통해 그 디바이스들과 TV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했다.

예를 들면 PC 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치들을 TV에 직접 연결할 필요없이 PC 상에서 컨트롤 함으로서 TV 상에서 채널번호를 입력한다던지, 창을 이동한다던지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PC 에서 제공하는 모든 인터페이스 장치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TV 에서 사용할 수 있다. PC 뿐만아니라, 핸드폰등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있는 디바이스들에 이 기술을 적용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PC 에 특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하드웨어 시그널을 S/W 로 처리하여 유선 또는 무선 패킷으로 전송한다. 이를 TV 에서 받으면 파싱하여 이에 대한 처리를 한다.

결론

종래의 비슷한 주제의 특허가 있음으로해서 신청 불가했다.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 자동으로 체크하여 최적의 환경을 세팅하도록 하는 방법

유무선 동작시 자동으로 네트워크 환경(전송속도/신호세기/AP 의 갯수)을 체크하여, 최적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세팅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으면 버퍼사이즈 크기를 조절한다던지, Wi-Fi 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서 원활하게 기능이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환경 체크 후에 현 상태에서 재생 가능한 스트림의 종류와 크기를 UI 로 알려준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환경에 맞게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결론

해당 주제의 특허가 존재함으로 신청 불가했다.

A/V 재생시 사용되는 정보(채널 정보) 또는 Broadband 사용시 받는 정보(날씨/증권/뉴스등)를 Wi-Fi 를 통해 핸드폰에 저장하고 동기화 하는 방법

예를 들어 Broadband 의 Youtube 에서 동영상을 보다가 급한 볼일이 있어 나가야 할 때, 이 재생 정보(웹사이트 주소, 마지막으로 재생한 시간등)를 휴대폰에 저장하여 후에 휴대폰에서 마지막으로 TV 에서 재생된 다음 장면 부터 재생이 가능함. 이와 반대로 휴대폰에서 어떤 사이트 혹은 동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보던 중, 이 정보를 TV 에 전송하면 TV 에서도 재생이 가능하다.

결론

특허로 채택되었다. 당시, 특허 등록을 위해 만들었던 idea.ppt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