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PC 환경정보 | 개발PC 내의 소스코드 위치 정리 |
Labtool 사용하기 | 칩의 기본 동작을 확인하는 Labtool 의 사용법 소개 |
신호세기 측정하기 | 장비를 이용하여 칩의 신호세기를 측정해보자 |
CATs 사용하기 | IQxel 장비를 사용하여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방법 |
Marvell 드라이버 핵심가이드 | 전반적인 marvell 드라이버에 대한 모든 것 |
Chrome OS 핵심가이드 | X64 기반의 환경 구축 및 빌드,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 |
무선 특성 환경 구축하기 | 타겟에서 mfgbridge, labtool 을 실행하는 방법 |
MFG Tool 핵심가이드 | Lucas2 에 동작하는 MFG Tool 에 대한 모든 것 |
AT command 분석 | Samsung 공정 라인에서 사용하는 AT 명령어 정리 |
Lucas 개발환경 구축하기 | Lucas2 개발을 위한 크로스 컴파일 환경구축 및 빌드 방법 설명 |
Power Table 수정하기 | RSSI 제어를 위한 파워 테이블 정리 |
Labtool 핵심가이드 | labtool 이슈 대응을 위한 내용 작성 |
Driver(8897) 핵심가이드 | 드라이버 빌드 및 관련 프로그램 사용방법 설명 |
8887 Bring-up 하기 | WiFi Chip 8887 을 개발하기 위한 환경 설정 방법 |
8887 release note | 8887 Driver 및 Firmware 릴리즈 노트 정리 |
동작 분석 - scan | AP Scan 시, 시퀀스 분석 자료 |
안드로이드 상에서 labtool 개발하기 | Android Platform 상에서 labtool 개발하는 방법 |
NX1 Board 사용 팁 | NX1 Board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FAQ |
NX1 에서의 Labtool 사용법 | WIFI R/F 테스트 시, 사용되는 예제들 |
AT Command 를 이용한 자동화툴 사용하기 |
2.4GHz 에서 HT40 Enable 하기 | 드라이버 및 F/W 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
Firmware 빌드하기 | F/W 다운로드 및 빌드 방법 정리 |
WIFI Cal Data 설정하기 | 프로젝트별 cal data 파일 분기하는 방법 |
P2P Sigma 사용하기 | P2P 인증을 진행하기 위한 시그마 패키지 사용 방법 |
NX1,500 인증 히스토리 | 인증 진행 시 발생했던 이슈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