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ian 을 일반적으로 서버용으로 쓰기 때문에 시스템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단지 Debian 을 맛보기 위해서 기존의 시스템을 포맷하고 설치하는 일은 흔하지 않다.
나의 경우는 후자의 경우에 VMware 를 사용한다. VMware 는 호스트 운영체제 위에서, 가상 운영체제를 돌릴 수 있게 한다.
우선 필자의 환경은 다음과 같다.
위의 프로그램들은 관련 사이트에서 다운 받도록 하자!
여기서 vmware의 설치는 다루지 않겠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면, RPM으로 설치하는 방법일 것이다.
vmware를 설치했다면, 데비안을 설치할 파티션과 그에 대한 설정을 해 주도록 하자!
모든 설정을 해 주었다면 저장하고 '“POWER ON”'을 해주자!(여기서 반드시 CMOS로 들어가서 CD롬 부팅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 데비안을 설치할때 주의 할 점이 있다. 설치하다 보면 느끼겠지만, 만일 내가 선택을 하고 엔터를 누르면, 그것이 밀려서 다음 설치과정 까지 영향을 미쳐서 그냥 넘어가 버린다. 그럼 그 과정은 설정을 못하고 그냥 넘어가 버리는 것이다. 참으로 어이가 없는…-_-;;
해결책은 인내심을 갖고서, 될수 있으면 엔터 보다는 스페이스바를 이용한다.
그렇게 어렵사리 데비안을 설치했다면, 아직 XFree86 이라던가 KDE 같은 윈도우 매니저가 설치되어 있을 않았을 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dselect
그러면 옛날의 M과 같은 프로그램이 떳을 것이다.
거기서 'install' 이라는 것을 선택하고 엔터를 입력하자! 그럼 그 전에 설치과정에서 체크했던 프로그램들이 설치된다.
모두 설치 되었다면 /etc/apt/에 sources.list 라는 파일을 열어서 수정을 해준다.
그리고 한국 데비안 사용자 모임(http://debianusers.org) 홈페이지에 가면 오른쪽에
'소스리스트' 라는 링크가 보일 것이다. 그것을 클릭해보자!
거기 보면 버전에 따라 소스 리스트가 보일 것이다. 그것을 복사해서 source.list 파일에 추가해준다. 아래와 같은 식으로…
deb http://http.us.debian.org/debian unstable main contrib non-free deb http://non-us.debian.org/debian-non-US unstable/non-US main contrib non-free deb ftp://linux.sarang.net/.1/debian unstable main contrib non-free deb ftp://linux.sarang.net/.1/debian-non-US unstable/non-US main contrib non-free
그리고 저장하고 빠져 나온다. 소스 리스트를 수정해 주었기 때문에 이를 적용 시켜야 한다.
#apt-get update #apt-get dist-upgrade
위와 같이 해주면 업데이트가 된다. 이제는 한글화를 위해 한국어 패키지를 설치해보자!
#apt-get install kde-i18n-ko
자동으로 다운 받아서 컴파일하고 설치까지 해준다. (넘 편하당 ^^;)
설치가 끝나면 vmware-tool라는 것을 설치해야 한다. X윈도를 사용한다면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 것을 설치해야만 제대로 화면과 해상도를 지원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뉴에서 'install vmware-tool' 을 선택하고 마운트 시켜주자!
#mount /cdrom
복사한뒤 압축을 풀어주고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install.pl other <<- other 가 중요하다!! 반드시 이것으로 해줄 것!!
그리고
#startx
어떠한가? 잘 보이는 가? 이제는 한글화를 위한 설정 만이 남았다..
한글화에 대한 내용은 다른 문서를 참고 하시길 ^^;
X 윈도우를 설정할 때 필요한 것이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와 수직 주파수이다.
X40 의 경우에는 아래의 표와 같다.
수평주파수 | 28-49 |
수직주파수 | 43-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