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운동

필자가 여전히 느끼고 있는 것이지만, 리눅스가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요인중에 하나는 프린팅(Printing)이다.
필자 역시 리눅스에서 프린팅을 하기 위해 무던히도 삽질을 했었다. 덕분에 리눅스에 프린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이 문서는 일반적인 에디터에서 프린팅이 된다는 가정하에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에디터라는 것은 오픈 오피스나 한컴오피스를 뜻한다. 하지만 문제는 모질라나 피닉스에서 프린팅을 하게 되면 한글이 '□□□□' 이런 식으로 출력된다는 것이다.

필자의 환경은 다음과 같다.

OS 레드햇 8.0 (Printer를 설정했기 때문에 고스트스크립트는 7.05-20 이다.)
Printer HP3420 (CUPS로 잡았다. 관련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설정 및 설치하기

필자가 여기저기 인터넷을 뒤져본 결과, 모질라나 피닉스로 프린팅을 할때, 고스트스크립트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한글이 네모로 나오는 것은 고스트스크립트의 font에 한글 폰트가 없어서 였다.
그래서 다음의 사이트에서 필요한 폰트를 다운 받아보자!

http://hangul.kldp.org

위의 사이트에서 [Publishing]을 클릭하면, '한글과 Printing' 의 권종억님의 홈페이지를 클릭한다.
'Adobe의 CID한글 PS font'라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일일이 폰트를 다운받아야 한다.
필자는 여기서 미지 리서치에서 제공한 RPM으로 묶어논 패키지를 설치했다.
아래의 주소에서 다운 받기 바란다.

ftp://ftp.mizi.co.kr/pub/misc/munhwa-cid/

필자는 'ghostscript-munhwa-cid-1.0.2.noarch.rpm'을 받았다
다운 받았다면 설치하자!

#rpm -ivh ghostscript-munhwa-cid-1.0.2.noarch.rpm
#rpm -q -s ghostscript    <- 결과를 확인하자!
#rpm -q -s ghostscript-munhwa-cid-1.0.2    <- 결과를 확인하자!

자세히 보면 위에서 설치한 폰트의 경로가 기존에 있는 ghostscript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폰트를 기존의 ghostscript 폰트가 있는 곳으로 옮겨 주어야 한다.

#cd /usr/share/ghostscript/fonts/
#cp -rf * /usr/share/ghostscript/fonts/
#cd /usr/share/ghostscript/7.05/lib
#vi gs_init.ps

다음을 추가해주어야 한다. 맨 아랫줄에 추가해준다.

(Munhwa-Regular-KSC-EUC-H.gsf) runlibfile

그리고 나서 실행하는 모질라나 피닉스를 모두 종료하고,(이왕이면 재부팅하면 더욱 좋고^^;) 프린터를 해보자!
한글이 출력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