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의 스트림마다 각기 다른 channel map 을 가지고 있는 데, 이를 나름대로 정리하기 위한 문서이다. 여기서 channel map 이라고 하는 것은 전체적인 스트림에서의 channel 구성도 라고 보면 되겠다. 이 문서를 작성하는 지금도 완벽히 이해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잊어버리기 전에 문서로 남겨야 한다!!!
각 스트림의 특징
모든 스트림은 크게 VSB, QAM, OPENCABLE 로 나뉜다.
채널맵을 보자면 VSB 와 OPENCABLE 은 서로 같다. 각 6 MHz 씩 하나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VSB 와 OPENCABLE 의 채널 맵을 놓고 두개를 비교해보면, 각 채널의 대역이 정확히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단지 다르다면, Physical Channel 은 일치하지만, Virtual Channel 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HD 프로그램인 DAC5000 에서 VSB 와 OPENCABLE 스트림일 경우에는 같은 세팅으로 맞춰서 스캔을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CABLE 모드의 경우(케이블로 들어오는 KBS,SBS 같은 공중파)에는 다른 채널 맵이 사용된다.
이때는 DAC5000 의 프로그램 소스를 수정해 주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다른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결론
어떤 지역이나 환경이든지, 위의 3 가지중에 한가지 스트림을 사용한다. 이런 환경에서 제대로 된 A/V 를 보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알고 있거나, 요청해야 한다.
- 어떤 스트림을 제공하는가? (VSB, QAM, OPENCALBE)
- 어떤 채널 맵을 가지고 있는가?
이 두 가지만 알고 있으면 된다. 내가 보고 싶은 채널이 어떤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또 그 주파수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는 몇 번인지 알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