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비안 기반의 ROM 인 안드로메다를 자우르스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안드로메다는 yonggun 님이 만들었고, 자세한 정보는 http://yonggun.tistory.com/76 에서 볼 수 있다.
아무래도 기존의 샤프롬에 비해서 장점을 들자면, 최신 커널(2.6.24)의 사용과 데비안에서 제공되는 패키지들을 자우르스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있겠다.
설치하기
안드로메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필요하다.
gnu-tar | http://www.linuxlinks.com/PDA/Zaurus/Software/Utilities |
hdimage1.tgz | http://matrixmen.free.fr/zaurus/debian/zaurus_eabi_rootfs_071201.tar.bz2 다운로드 후 파일명 수정 |
updater.sh | Sharp ROM 설치시 사용했던 파일 |
zImage.bin | http://yonggun.tistory.com/72 에서 zImage.bin.hda1 다운로드 후 파일명 수정 |
modules-2.6.24.4-yonggun.tar.gz | http://yonggun.tistory.com/72 |
참고로 hdimage1.tgz 의 경우, 기존의 파일이 .bz2 이기 때문에, 압축을 푼 다음 다시 .tgz 으로 다시 압축해주어야 한다.
준비가 되었으면, CF 메모리에 모두 복사한다.
파티션 나누기
나의 경우, 기존에 QT 기반의 Sharp ROM 을 사용했기 때문에, 파티션을 수정해야 했다.
기존의 Sharp ROM 으로 부팅한 상태에서,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fdisk -l ...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1 7655 3858088+ 83 Linux /dev/hda2 7656 7936 141624 82 Linux swap / Solaris
설정한 파티션을 각각 포맷해주어야 하는데, 정상적인 ROM 부팅 상태에서는 해당 파티션이 이미 마운트 되어 있는 관계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D+M 모드로 부팅해야 한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일단 배터리와 전원 연결선을 모두 뺀 다음에 2 - 3초 정도 기다렸다가,
- D 버튼과 B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한다.
- 전원 연결후 배터리를 넣고 배터리 덮개를 덮고, 잠근다.
- 그리고 ON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과 함께 설치 모드로 부팅이 된다.
- root 로 로그인한다.
앞에서 설정했던 파티션을 포맷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mke2fs -j /dev/hda1 #mkswap /dev/hda2
재부팅 한다. 이후, 커널 업데이트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램디스크 때문에 압축푸는 데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설치 후에 root, zaurus 로 로그인한다. 부팅 로그를 보면, 모듈이 없어서 서비스가 제대로 시작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tar xzf modules-2.6.24.4-yonggun.tar.gz -C /lib/modules #depmod -a
위와 같이 실행하고 재부팅해보자.
#lsmod
관련 모듈이 올라온 것을 볼 수 있다.
해결되어야 할 점
사용하면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점들이다.
- suspend mode 가 지원되지 않는다. 항상 전원을 연결하거나, 배터리를 분리해야 한다.
- 네트워킹을 위해서 USB-to-Ethernet, Wireless Lan Card(CF 타입) 를 연결했지만, 커널 패닉이 발생하거나, 아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인식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