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문서에 이어서 한글 입력을 위한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준비운동하기

아래의 주소에서 설정에 필요한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기 바란다.

http://likewind.org/pds/korean.zip

압축을 풀면, 다음의 파일들이 나온다.

qkb-helper_arm.3.2_arm.ipk 한글 입출력을 위한 프로그램
fonts 각종 폰트 파일들

이 파일들을 CF 메모리에 복사한 후에, 자우르스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일단 한글 입력을 위해 qkb-helper_arm.3.2_arm.ipk 를 설치한다.
폰트 파일은 기존의 폰트디렉토리에 있는 폰트를 모두 지운 뒤에, 방금 복사한 폰트를 복사한다.

$su -
#cd /opt/QtPalmtop/lib/fonts
#rm -f *
#cp /cf 메모리경로/fonts/* /opt/QtPalmtop/lib/fonts/

이제 재부팅을 해보자! 이제 한글 입출력이 될 것이다.

텔넷 사용하기

물론 앞에서 설치한 터미널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자우르스에서 실행해도 무방하지만 키보드 입력이 불편해서 호스트 쪽에서 실행하고 싶다면 텔넷으로 사용할 수 있다.

$su -
#vi /etc/inetd.conf

아래 쪽에 보이는 텔넷 관련 설정 부분의 주석을 풀어준다.

# With tcpd (TCP Wrapper) #
ftp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tcpd  in.ftpd -l -a
telnet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tcpd  in.telnetd

그리고 나서 재부팅 또는 inetd 데몬을 재시작 시켜준다.

#/etc/rc.d/init.d/inet restart

이제 호스트 쪽에서 텔넷을 통해서 자우르스로 접속해보자!

탭(TAB) 키 먹게 하기

텔넷이나 터미널을 사용해 보면 알겠지만, 일반적인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탭(TAB)키를 눌렀을 때 적용되는 자동완성기능이 되지 않는다. 나 개인적으로 이 기능은 상당히 편하다고 생각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etc/패스워드' 파일을 수정해주면 된다.

root:x:0:0:root:/home/root:/bin/bash        <---  bash 로 수정
...
zaurus:x:500:500:Zaurus User:/home/zaurus:/bin/bash    <--- 수정
fat81:x:501:501:Linux User,,,:/home/fat81:/bin/bash    <--- 수정

한글로 된 파일 복사하기

앞의 문서에 자우르스에는 삼바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고 얘기했었다. 그래서 호스트 쪽과 SYNC 가 완료되면, 파일 전송을 굳이 CF 나 SD 메모리로 할 필요가 없다. 바로 삼바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시작 → 실행 → \\likewind.org\ → home → Internal_Disk'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다. 한글로 된 이름을 가진 파일을 복사할 경우 제대로 복사가 안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한글이름의 mp3 파일을 복사했다. 하지만, 자우르스 쪽에서는 파일명이 중간에 짤려 복사가 되는 문제가 생겼다.

이 문제는 삼바 설정 문제였다.

#vi /hdd2/usr/lib/samba/smb.conf

아래와 같이 설정을 수정해주면 된다.

[global]
# workgroup is either a domain name or a workgroup name
        workgroup = WORKGROUP
        log file = /dev/null
#
# encrypt passwords is required for Win98, NT and Windows 2000
#
        encrypt passwords = yes
 
        coding system = utf8
        client code page = 949           < --- 한글 codepage 로 수정
        force create mode = 0755
        strict sync = yes
        sync always = yes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아래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http://likewind.org/pds/codepage.tgz

압축을 풀어서 다음과 같이 복사한다.

#tar xzvf codepage.tgz
#cp codepage.949 unicode_map.949 /usr/lib/samba/codepages/

이제 재부팅 또는 삼바 데몬을 재시작해주면 된다.

#/etc/rc.d/init.d/samba restart

은진체 사용하기

위에서의 한글 설정으로 입출력이 가능해졌다. 그런데 뭔가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래서 이번에는 폰트를 바꿔 보도록 하자! 여기서는 은진체라고 하는 필기체 비슷한 폰트를 사용해 보도록 한다.
일단 아래의 주소에서 폰트를 다운로드 한다.

http://likewind.org/pds/eunjin.tar.bz2

압축을 풀어서 나온 파일들을 자우르스의 폰트 디렉토리로 모두 복사한다. 참고로 자우르스에서는 기본적으로 .bzip2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호스트 쪽에서 압축을 푼 뒤에 자우르스로 옮겨도 되고, 직접 bzip2 프로그램을 설치해도 된다.

#bzip2 -d eunjin.tar.bz2
#tar xvf eunjin.tar
#cd eunjin
#cp * /opt/QtPalmtop/lib/fonts/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이제 일반 Application 에서는 은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메뉴 같은 시스템 폰트로는 사용할 수 없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작업이 더 남았다.

#cd /opt/QtPalmtop/lib/fonts
#ln -s eunjin_120_50.qpf lcfont_120_50.qpf 
#ln -s eunjin_120_50_t10.qpf lcfont_120_50_t10.qpf
...
...

자우르스에서는 lcfont_ 로 시작하는 폰트를 시스템 폰트로 사용한다. 그래서 내가 시스템 폰트로 사용하고 싶은 eunjin_ 파일을 lcfont_ 로 심볼릭 링크를 걸어준다.
모두 걸어주었다면, 이제 baekmuk_ 와 helvetica_ 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모두 지운다.
그리고 나서 재부팅을 해보자!! 메뉴 폰트가 바뀌어 있을 것이다.

무선 랜 사용하기

자우르스는 기본적으로 무선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무선랜 카드를 장착해야 한다. 나의 경우 CF 타입의 airgate2000c 무선랜 카드를 장착했다.
자우르스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수정이 필요하다.

#vi /etc/pcmcia/wlan-ng.conf

가장 마지막 줄에 추가한다.

card "IPOne airgate2000c"
   manfid 0x0713, 0x0002
   bind "prism2_cs"

그리고 재부팅한다. CF 에 장착하고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려보자!!

#cat /var/lib/pcmcia/stab
Socket 0: IPOne AirGate000C
0        wlan-ng prism2_cs     0    usb0
Socket 1: empty

위와 같이 출력되었다면, 올바르게 인식된 것이다. 이제 사용하는 일만 남았다. 참고로 나의 집에서는 무선랜이 잡힌다. 트레이에 지구본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보자! connected 메세지가 나왔다면, 브라우저를 실행시켜서 눈으로 확인해보자!

프로그램 별 수정할 것들

실행하면, 메뉴가 일본어로 나오거나 네모박스로 나온다. 이럴 때는

#rm /opt/QtPalmtop/bin에 word-eucJP.rc 

해주면 된다.

실행하면, 메뉴가 모두 ??? 로 나온다. 이럴 때는 아래의 주소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http://likewind.org/pds/thanks.tar.gz

압축을 풀면, movieplayer.qmid 파일이 나온다. 다음과 같이 복사한다.

cp movieplayer.qmid /hdd2/QtPalmtop/i18n/ko/

또한 텍스트 파일을 자우르스에서 열어보면, 한글이 네모로 출력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같이 풀려나온 textedit.so 파일을

cp textedit.so /hdd2/QtPalmtop/binlib/

복사한다.

스크린 샷 찍기

'fn+shift+c' 키를 누르면 된다.

하드 리셋하기

다음을 순서대로 하면 처음 구입했을 때의 상태로 초기화 된다.

  1. 먼저 배터리를 뺀 후 5초정도 결합..
  2. 전원을 연결하고 ok버튼을 누른체로 전원을 누르면 4가지 모드가 뜹니다
  3. 3번째걸 선택
  4. 첫번째 선택
  5. Y를 선택

하면 된다.

qkb 관련 팁

내용
한글입력 LShift + RShift
한자입력 한글입력 + Fn + 6
keyhelper 기능키 할당 Settings/keyhelper.xml 파일에서 설정

필요없는 애플릿 지우기

기본으로 설치되는 롬을 보면, 오른쪽 아래에 'A' 모양의 애플릿이 존재한다. 또한 키보드 모양의 애플릿에서도 평소에는 전혀 쓰지 않는 언어까지 지원하고 있다.
그래서 필요 없는 애플릿을 지우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cd /opt/QtPalmtop/plugins/applets
#rm *fep*
#rm *trans*
#cd /opt/QtPalmtop/plugins/inputmethods
#rm *qkeyboard*
#rm *CRIM*
#rm *j*

그리고 나서, 재부팅을 해보자!! 어떤가?, 애플릿이 사라지지 않았는가?

아이콘 한글화 하기

대부분의 아이콘은 제어판의 탭 설정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몇가지 안되는 것들이 있다. 그 중에서 탭 설정 아이콘인데, 아마도 자기 자신이라서 안되는 것 같았다. 결국 문제의 원인을 알았다.
자우르스는 시스템에서 모두 UTF-8 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원격 접속을 하는 putty 에서는 EUC-KR 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서로 로케일이 맞지 않기 때문에, 한글의 경우 깨져 보였다. 하지만, putty 를 UTF-8 로 맞춤으로서 문제는 간단히 해결되었다.

스왑(swap) 잡기

자우르스는 리눅스 기반이라고 앞에서 얘기했다. 때문에, pc 기반의 리눅스와 마찬가지로 swap 을 잡을 수 있다. 스왑을 잡아주는 이유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다.
스왑은 다른말로 가상 디스크 메모리라고 할 수 있는 데, 하드의 일정용량을 잡아서 마치 메모리 처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가상이기 때문에 실제의 메모리만큼 빠르지는 않다.
c3000 의 장점인 4 기가의 용량을 앞세워서 swap 을 잡아보자!! 여기서는 128 MB 를 잡겠다.

#su
#dd if=/dev/zero of=/hdd3/swapfile bs=1048576 count=128
#mkswap /hdd3/swapfile
#swapon /hdd3/swapfile
#echo "/hdd3/swapfile swap defaults 0 0" >> /etc/fstab

재부팅하고 나서, 제대로 잡혀 있는지 확인해보자.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Mem:        62108        57224         4884            0         1180
 Swap:       131064         1668       129396
Total:       193172        58892       134280

SD Card 인식시키기

이것은 나만의 문제인지 아닌지는 단언할 수 없지만, sd 가 자우르스에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처음에는 내가 가지고 있는 san disk 256 MB 에 문제가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웹 상에다가 물어봐도 문제가 없다는대답 뿐이었다. 그래서 결국 직접 삽질을 하기로 마음 먹었다.
자우르스는 sd card 가 들어오면,

#/etc/sdcard/sd_mem_ctrl insert 

가 실행된다. 직접 터미널을 통해서 실행을 해 본 결과, 마운트를 할 수 없다는 에러가 났다. 문제는 마운트를 하는 device 가 잘못된 것 이었는데, 이를 수정하려면 몇가지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나의 sd card 의 경우에는 /dev/mmcda 에서 마운트가 올바르게 수행되었지만, 위의 스크립트 프로그램의 경우, /dev/mmcda1 에서 마운트를 수행했다. 에러가 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dev/mmcda      /mnt/card       auto    noauto,owner    0  0
# SD card configuration file
 
{
        name: "SD Memory" device: "mmcda"     // 수정
        mid: "0x00000000" class: "memory"
        major: "60", minor: "1"
        start_script: "/etc/sdcard/sd_mem_ctrl insert"
        end_script: "/etc/sdcard/sd_mem_ctrl eject"
}
FATOPTS="-o noatime,quiet,umask=000,iocharset=utf8"
STAB_FILE="/var/lib/sdcard/stab"
STORAGE_PID_FILE=/var/run/usbdstorage.pid
STORAGE_PID=""
USB_STATUS=""
STORAGE_DEV=""
DEVICE="mmcda"         // 추가

주석을 넣어준 부분을 수정하고 나서, 재부팅하자!
그리고 sd card 를 넣고, 자동으로 sd 아이콘이 나오는지 확인하자~

마우스를 사용해 보자!!

c3000 의 usb host 기능을 사용해서, 직접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말 놀라울 따름이다. ^^;
일단 필요한 준비물은 usb 용 마우스와 usb 케이블이 필요하다.
케이블의 경우는 나는 아이리버에서 mini usb 용 케이블을 약 4000 원을 주고 구입했다.
모든 준비물이 완료되었다면, 다음의 주소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한다.

http://tbox.jpn.org/wiki/linuzau/wiki.cgi?InputHelperApplet

현재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은 inputhelper_1.0.0-1_arm.ipk 이다.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에 재부팅을 한다.
그리고 나서, c3000 에 마우스를 연결해보자!!
어떤가? 마우스 포인터가 생겼을 것이다. 클릭도 된다. 아쉬운 점이라면, 아직 왼손 잡이용 세팅을 아직 알아내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조만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c3000 은 pda 가 아니다. 컴퓨터 이다.

글꼴 대체하기

가끔가다가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메뉴의 글자가 '???' 처럼 나오는 때가 있다. 특히 은진체를 사용하다가, 아이콘을 축소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이유는 알맞는 폰트가 없기 때문이다.
폰트를 축소하면, 이에 맞게 작은 폰트가 필요한 데, 폰트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물음표로 표시되는 것이다.

최소한 물음표로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폰트에 심볼링 링크를 걸어주는 방법이 있다.
내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은진체의 경우, 폰트 크기가 120, 140, 160, 180, 200, 240 가 있다.
폰트 크기 120 을 100 에 링크를 걸어준다.

lcfont_100_50.qpf -> eunjin_120_50.qpf
lcfont_100_50_t10.qpf -> eunjin_120_50_t10.qpf

그리고 나서, 자우르스를 재부팅 해보자! 이제 폰트를 축소해도 물음표가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

폰트 약간 깨져 나올 때

원래 이런 문제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cacko 롬을 올린 상태에서 터미널을 실행시키고 액정을 세로로 움직이면 메뉴에 있는 폰트가 약간 깨져 보인다.

처음에는 폰트 문제인 줄 알고, 확인했지만 은진체에 대한 심볼릭 링크는 문제가 없었다. 해결방법은 의외로 간단한 곳에 있었다.
'제어판 → Appearance → Font' 에서 'use thick fonts' 의 체크를 지워주면 된다.

아이콘 추가하기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아이콘과 함께 프로그램이 메뉴에 등록이 된다.
하지만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해상도에 따라서 아이콘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아크로벳 리더나, 지하철 노선 프로그램이다.
다른 아이콘으로 대체해줄 수 있다.
kde-look 과 같은 사이트에 가면, 예쁜 아이콘을 얻을 수 있다. 자우르스에서는 64×64 크기의 아이콘을 지원한다.

아이콘을 받아서 압축을 푼 뒤에 자우르스의

#cd /opt/QtPalmtop/pics/

에 복사한다. 나의 경우에는 하드에다가(/home/root/Documents/Decoration_Files/Icons) 복사한 후에 심볼릭 링크를 걸었다.

Music Player 에서 노래 제목 깨질 때

제목이 깨지는 mp3 파일을 윈 엠프에서 실행시킨다. 그리고 나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file info' 를 선택한다.
Tag 창이 나오는 데, 모두 체크를 해제한다. 'Update' 버튼을 누른다.

/dev/mtdblock3 확보하기

자울을 사용하다보면 /dev/mtdblock3 에 /home 디렉토리에 마운트되어 있는 공간이 부족해서 부팅 루프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워낙 초기에 할당된 용량이 3M 정도 밖에 안되는 지라, 조심해야 한다. /home 디렉토리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var/log 디렉토리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면 할 수록 로그파일이 커지게 된다. 게다가 나중에 mysql 을 설치하게 되면, 이 경로에 로그파일이 생기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나 나름대로 고심끝에 /var/log 디렉토리를 넉넉한 다른 곳으로 심볼릭 링크를 걸어주기로 했다.
이 작업은 작업의 초반에 해주는 것이 좋다.

#cd /hdd2
#mkdir log
#cd /var/log/
#cp -a * /hdd2/log
#cd ..
#rm -rf log
#ln -s /hdd2/log/ log

위와 같이 작업 한 후에 재부팅하자!!

핸드폰으로 인터넷 접속하기

자우르스의 usb 호스트 기능을 이용해서 핸드폰으로 인터넷이 가능하다. 하지만,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하는 것은 그야말로 막대한 지출을 요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된다는 것만 확인한다.
필요한 준비물들은 다음과 같다.

모델명 모토로라 스타택 2004
그 외 usb 호스트 케이블, 핸드폰 24핀 데이터 케이블

먼저 자우르스와 핸드폰을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한다. 자우르스에서 어떻게 핸드폰을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제어판 → 시스템정보 → Device → USB' 항목을 보자!!
필자의 경우, 'CDC-Control' 항목이 생겼다. 또한 상제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나왔다.

Vendor Motorola PCS
Product CDC-Control
Class CDC-Control
ID 22b8/6631
Driver acm

여기서는 'ID' 항목을 잘 알아두기 바란다. 이제 /etc/hotplug/usb.distmap 파일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 usb module         match_flags idVendor idProduct bDeviceClass 
acm                          0x0070     0x22b8   0x6631     0x02       ## 앞에서 확인한 값으로 각각 수정!

앞에서 확인한 값으로 idVendor, idProduct, bDeviceClass 항목을 변경해야 한다.
이번에는 디바이스 /dev/ttyACM0 를 작성해야 한다.

# mknod /dev/ttyACM0 c 166 0

설정을 적용시키기 위해 시스템을 재부팅하자!!
이제 콘솔창을 열어서 필요한 모듈이 올라왔는지 확인한다.

#lsmod
Module                  Size  Used by
acm                     5840   0  (unused)         ## 이 모듈이 올라와야 한다!!
usb_ohci_pxa27x        21696   0  (unused)
usbcore                63264   1  [acm usb_ohci_pxa27x]
prism2_cs              69584   1
p80211                 18864   1  [prism2_cs]
pxa_bi                 24912   0  (unused)
storage_fd            100336   0  (unused)
usbdcore               35504   0  [pxa_bi storage_fd]
bluez                  33200   0  (autoclean)
usbdmonitor             5488   0
usb-monitor             6496   0
sharp_mmcsd_m          41008   1
bvdd                   11776   0  (unused)

이때 로그 파일을 보면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usb.c: kusbd: /sbin/hotplug add 2
usb.c: registered new driver acm
ttyACM0: USB ACM device
usb.c: acm driver claimed interface c0a2fc60
usb.c: acm driver claimed interface c0a2fc78
usb.c: acm driver claimed interface c0a2fc60
acm.c: v0.21:USB Abstract Control Model driver for USB modems and ISDN adapters

'제어판 → 네트워크 설정' 에서 휴대폰 연결 설정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우선 'Dial-up PPP' 으로 맞춰놓고, 설정을 만든다. 다음 단계에서 'IrDA - PPP' 를 선택한다.
이후, 몇가지 설정이 필요한 데 먼저 접속처탭 부터 알아보겠다.

이름 'My Phone(아무거나 해도 상관없다)'
유저명 'sktelecom'
패스워드 '(공란으로 남긴다)'
전화번호 '1501'

네트워크 탭은 기본으로 둔다. 모뎀 탭은

초기화명령 'AT+CRM=150'

입력한다. 프록시 탭 역시 기본 설정이다. 저장하고 빠져나온다. 마지막으로 /etc/ppp/peers/IRDAXXXXXX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noipdefault
/dev/ttyACM0 115200   ## 이렇게 수정한다!
connect '/usr/sbin/chat -s -v -t 60 ABORT "NO CARRIER" ABORT "NO DIALTONE" ABORT "BUSY" "" "AT+CRM=150" OK "ATDT1501" CONNECT "\\d\\d"'
crtscts
lock
modem
user "sktelecom"
usepeerdns
defaultroute
mtu 576
mru 576
connect-delay 1000
remotename IRDA1142130215

위의 파일은 제어판에서 연결 설정을 바꿀 때마다 초기화 되므로 매번 제대로 수정이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다.
휴대폰을 연결하고, 접속 아이콘을 실행한다. 패스워드를 물어보지만, 여기서는 그냥 연결하면 된다.
처음에는 초기화중 → 다이얼중 → 인증중 → 접속 완료 → 접속중이 된다. 접속을 실시하면/dev/shm/tmp에 로그 파일 qpe-pppd-log 이 작성된다.
접속에 실패할 시에 이 파일을 보면서 원인을 유추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로그 파일 qpe-pppd-log 은, 재기동하면 없어져 버린다는 것이다.

리모콘 사용하기

사실 자우르스용 리모콘이 따로 존재하지만, 자금 사정상 저렴한 코원 리모콘을 사용하고 있다. 리모콘 키 값을 수정해주어야만 제대로 리모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행히 자우르시안에서 keyhelper.xml 파일을 찾을 수 있었다.

#cp keyhelper.xml /home/zaurus/Settings/

위와 같이 복사해주고, 재부팅하면 사용할 수 있다.

  • computer/embedded/자우르스_활용하기_-_2.한글_설정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