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LINUX 에서 구입한 EZ-AT7 이라는 장비에 대한 설치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가 이 장비를 구입한 가장 큰 이유는 USB 로 부트로더를 X5 보드에 write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또한 USB-to-Serial 로도 사용가능하며, CPU 와 RAM 이 있어 장비 자체에 프로그래밍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자료는 http://www.ezjtag.org/zbxe/http://kshop.falinux.com/UsePage/tvell/Goods/GoodsDetail.php?goo_id=6470 에서 얻을 수 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여기서는 크게 3가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1. USB JTAG
  2. USB-to-Serial
  3. Self-Programming

준비운동 하기

사용에 앞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ezjtag.zip 을 다운로드한다. 이 파일에는 1,2 번 기능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드라이버 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EZ-AT7 을 PC 와 연결한다. 새로운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지정해줘야 한다. 다운로드한 파일의 압축을 풀고, 'CP2102_USBtoSERIAL_Driver_Files_EZJTAG-USB적용모델' 이라는 디렉토리로 지정해주면 된다. 자동으로 설치가 되면서, 새로운 디바이스가 생성될 것이다.

하드웨어 구성

  1. 전원 - 오직 USB 전원으로만 동작한다. 버튼이 Push 하면, 전원이 ON 되고 버튼을 Push Off 하면, 전원이 OFF 된다.
  2. 시리얼 포트 - 타겟보드와 시리얼 케이블을 연결하여, USB-to-Serial 로 사용할 수 있다.
  3. 기능선택 버튼 - 버튼을 Push 하면, USB JTAG 기능으로 사용되고 버튼을 Push Off 하면 USB-to-Serial 기능으로 사용된다.
  4. JTAG 포트 - USB JTAG 기능 사용시, 타겟보트의 JTAG 핀과 연결한다.
  5. 핀번호 맵 - JTAG 포트의 핀 번호가 출력되어 있다.

USB JTAG 으로 사용하기

먼저 write 하려는 타겟보드에 아래 그림과 같이 핀을 연결해야 한다. 참고로 여기서는 EZ-X5 보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EZ-AT7 에도 아래 그림과 같이 핀을 연결한다.

그리고 전원을 ON 시킨다. '이때 D1 과 D2 에 불이 들어와야 한다.'
타겟보드 전원을 ON 시킨다. 이제 write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차례다. ezjtag.zip 파일의 압축을 풀면, 'fsp_ezjtag_flash' 디렉토리가 있는데, 'fsp_ezjtag_flash.exe' 를 실행하면 된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D1, D2, D3 에 모두 불이 들어온다.'
'장치 찾기' 버튼을 누른다. 자동으로 검색이 되었다면, '모듈 선택' 버튼을 누른다. 타겟보드에 맞게 'EZ-X5' 를 선택한다. 그리고 '쓰기' 버튼을 누른다.
이제 EZ-AT7 에 EZ-X5 에 write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write 된 것이다. write 할 바이너리 이미지(.bin) 파일을 선택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쓰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 write 되는 동안, D1 이 깜박거리고 D2 와 D3 는 불이 켜진 상태로 있는다.'

USB-to-Serial 로 사용하기

아래 그림과 같이 추가로 핀을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타겟보드와 EZ-AT7 을 시리얼 케이블로 연결한다.

EZ-AT7 의 전원을 ON 시킨다. 'D1 과 D3 의 불이 들어와야 한다.'
타겟보드의 전원을 ON 시켜서 부팅시킨다. 터미널에 부팅 메세지가 출력될 것이다.

Self-Programming 하기

먼저 예제프로그램 falinux_ez-at7_test_prg.zip 을 다운로드 받는다.

  • computer/embedded/ez-at7_사용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