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2013년에 나온 모델이니 올해로서 10년이 된 모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잘 사용하고 있다. 이유는 바로 다양한 커스텀 롬(rom)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제조사의 공식 안드로이드 버전은 5.0 이 마지막이지만, 내가 사용하는 리니지(lineage) 롬의 경우, 현재(2022/10) 11 까지 릴리즈되고 있다.

커스텀 롬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노트3는 더 이상의 활용가치가 없다. 웹 서핑이 힘들정도로 느리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OS, 즉 S/W 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동일한 H/W 에 안드로이드 11 을 올리면 꽤나 쓸만해지는 최근 기기로 변신하기 때문이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새로운 모델이 나오면, 기존 제품보다 2배 이상 빠르고 용량이 큰 H/W 스펙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요즘은 겉모습만 보면 올해 제품인지 작년 제품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기기마다 H/W 스펙은 별반 차이가 없다.
결국 휴대폰 시장의 발전은 S/W 를 차별화하는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덕분에 10년이 된 제품을 아직까지도 멀쩡하게 사용할 수 있다.

커스텀 롬이란

예전에는 휴대폰을 구입하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원하는 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안드로이드 OS 에 종속적이라 제조사에서 업데이트 된 OS 를 지원하지 않으면, 최신의 앱들을 설치조차 할 수 없었다.
이런 점들에 불만을 가진 개발자들이 공개된 안드로이드 소스코드를 각자의 휴대폰에 포팅해서 배포하기 시작한 것이 바로 커스텀 롬(rom)이다. 꽤나 다양한 롬들이 존재하는데, 이 중 여기서 소개할 리니지 롬은 2년 넘게 사용해본 결과 꽤나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고 있다.

최신 커스텀 롬은 https://xdaforums.com/f/galaxy-note-3-android-development.2496/ 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준비운동 하기

설치에 앞서 필요한 것들은 아래와 같다.

이름 설명
PC 윈도우 7 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폰 갤럭시 노트3(SKT/KT용)으로 모델명은 N900S 또는 N900K, 중고업체에서 47000원에 구입(S급)
케이블 PC 와 연결할 5핀 또는 USB 3.0 데이터 케이블
ROM https://download.lineageos.org/hltekor 에서 최신버전 다운로드
ADB PC 에서 휴대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USB 드라이버 휴대폰의 다운로드 및 리커버리 모드 진입 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
Odin(오딘) 리커버리 이미지를 휴대폰에 전송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
Recovery 이미지 리커버리 모드에서 롬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노트3 가 출시될 때만 해도, 통신사에 따라 기기가 달랐다. SKT 와 KT 는 혼용이 가능하지만, LGT 는 불가능하다. SKT/KT 용으로 구입한다. 제품을 받으면, 기본 기능들을 확인해야 한다.
특히 GPS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GPS test' 라는 앱을 설치하여 GPS 위성의 검색 그리고 실제 위치의 정확성이 어느 정도인지 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조사가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5.0 까지 업데이트를 해야한다.

이후 모든 설치 과정은 https://wiki.lineageos.org/devices/hltekor/install 에 나온 내용들을 기반으로 한다.

Lineage(리니지) 롬 다운로드

https://download.lineageos.org/hltekor 에서 최신버전(lineage-18.1-20221019-nightly-hltekor-signed, 2022/10/28 현재)을 다운로드 한다.
또한 리커버리(recovery) 이미지를 롬 버전에 맞게 최신(lineage-18.1-20221019-recovery-hltekor.img)으로 다운로드한다.
리커버리 이미지의 파일명을 'recovery.img' 로 변경한다. 그리고 이 파일을 tar 로 압축해야 하는데,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여기서는 '7-zip'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이다.
먼저 7-zip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recovery.img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7-zip - 압축파일에 추가' 를 선택한다. 생성된 창에서 '압축파일 형식'을 'tar' 로 지정 후, '확인' 을 누르면 'recovery.tar' 파일이 만들어진다.

ADB 다운로드 및 설치

PC 에 있는 롬 파일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으로서 PC 에 설치한다.

  1. https://dl.google.com/android/repository/platform-tools-latest-windows.zip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2022/10/28 현재, platform-tools_r33.0.3-windows.zip 파일을 받았다.
  2. 압축을 풀고, 디렉토리(platform-tools) 채로 C 드라이브 아래(C:\)로 옮긴다.
  3. 바탕화면의 '컴퓨터' 아이콘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 을 선택한다.
  4. 창의 좌측에 '고급 시스템 설정' 을 클릭하고, '환경변수' 버튼을 누른다.
  5. '시스템 변수' 아래의 변수 중 'Path' 를 선택하고 '편집'을 누른다.
  6. '변수값' 의 가장 마지막에 ';C:\platform-tools' 를 추가하고 '확인'을 누른다.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도스(cmd)창을 실행하고 아래와 같이 실행하자.

C:\Users\wjkim>adb --version
Android Debug Bridge version 1.0.41
Version 33.0.3-8952118
Installed as C:\platform-tools\adb.exe

위와 같이 나왔다면 성공이다.

휴대폰 개발자모드 활성화

'설정 - 일반 - 디바이스정보' 메뉴의 '빌드번호' 를 7번 터치하면, '개발자 옵션' 메뉴가 활성화 된다.
상위 메뉴에서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 을 체크한다.

삼성 USB 드라이버 설치

https://developer.samsung.com/mobile/android-usb-driver.html 에서 SAMSUNG_USB_Driver_for_Mobile_Phones.exe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참고로 2022/10/29 현재 최신버전은 1.7.59 이다.

휴대폰을 USB 케이블을 이용해 PC 에 연결하고나서,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C:\Users\wjkim>adb devices
List of devices attached
b6f2b473        unauthorized

이때 리스트에 뭔가가 출력되면 성공이다.

휴대폰에 리커버리 이미지 설치

PC 와의 연결을 분리한 뒤,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볼륨 하단 + 홈 + 전원' 버튼을 꾹 누른다.
화면에 '다운로드를 계속 진행하시겠습니까?' 라고 나오면, '볼륨 상단' 키를 누른다.

'다운르도 중' 이라는 화면이 뜨면, 케이블로 PC 와 연결한다. 그리고 PC 에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https://androidfilehost.com/?fid=4349826312261712202 에서 오딘(odin)을 다운로드 한다. Odin_3.13.1.zip 의 압축을 풀고, Odin3 v3.13.1.exe 파일을 실행한다.
'Options' 탭의 'Auto Reboot' 옵션을 체크해제한다.

'AP' 항목을 체크하고, 앞서 만든 recovery.tar 파일을 선택한다. 'Start' 버튼 클릭한다.
'Log' 탭에서 마지막 줄에 'All threads completed.(succeed:1 / failed:0)' 이 출력되면 성공이다.

휴대폰에서 USB 케이블을 제거하고, 배터리를 분리하여 전원을 끈다.
다시 배터리를 꼽고, '볼륨 상단 + 홈 + 전원' 키를 꾹 누른다.
화면에 'Recovery mode' 라고 표시된다. 이후 USB 를 휴대폰에 꼽고 PC 와 연결하면,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휴대폰 화면 메뉴에서 'Factory reset - Format data/factory reset - Format data' 을 선택한다. 모든 데이터가 삭제된다.

상위 메뉴로 가서 “Apply update - Apply from ADB” 를 선택한다. 도스창을 열고,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C:\>adb sideload lineage-18.1-20221019-nightly-hltekor-signed.zip
* daemon not running; starting now at tcp:5037
* daemon started successfully
serving: 'lineage-18.1-20221019-nightly-hltekor-signed.zip'  (~47%)    adb: failed to read command: No error

위와 같이 출력되었다면, 성공이다. 47% 나 failed 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이로서 롬은 설치되었다. 하지만 추가로 필요한 작업이 있는데, 앱스토어를 통해서 앱을 설치하려면 구글 관련한 앱을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리니지 롬은 구글 관련한 앱들을 분리해놓았다.

https://wiki.lineageos.org/gapps 사이트에서 휴대폰(mobile), 안드로이드 버전과 휴대폰의 아키텍처에 따라 맞는 것을 다운로드 한다. 2022/10/29 현재, MindTheGapps-11.0.0-arm-20220217_095902.zip 를 다운로드 했다.
이를 설치할 때, 유의할 점이 2가지 있다.

  1. 롬을 먼저 설치한 후에, 설치할 것
  2. 롬을 설치한 후, 휴대폰의 리커버리 메뉴의 상단에 가서 'Apply upate - Apply from ADB' 를 다시 실행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나서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C:\>adb sideload MindTheGapps-11.0.0-arm-20220217_095902.zip
serving: 'MindTheGapps-11.0.0-arm-20220217_095902.zip'  (~47%)    adb: failed to read command: No error

위와 같이 출력되면 성공이다. 상위 메뉴로 이동해서 'Reboot system now' 를 선택한다. 휴대폰이 재부팅되면서 안드로이드 11 설치화면이 뜨면 성공이다.

앞서 설명한 설치 과정의 모든 것은 https://wiki.lineageos.org/adb_fastboot_guide 사이트를 참조했다.

기본 설정하기

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이 필요하다. 또한 로그인하고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통화와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이라는 가정 하에 기본적인 설정방법을 설명하겠다.

기본적으로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기 때문에 이 설정을 꺼야 한다.

개인적으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앱들이다.

순서 이름 설명
1 google keyboard(gboard) 한글 입력을 위해서 가장 먼저 설치해야 한다
2 노바런처 화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하는 윈도우 매니저 프로그램

화면의 8×8 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폰트를 가장 작게 선택한다. 시스템 설정에서 시간을 가운데로 설정하고, 배터리 잔량은 숫자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후부터는 필요한 앱들을 순서없이 설치하면 된다.

금융관련 앱들은 설치 후라도 여러가지 인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각종 정보들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자주 사용하는앱 을 참고한다.

리니지 롬 업데이트하기

리니지 롬은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으며, push 알림 또는 '설정 - 시스템 - 업데이터'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 그림들을 참고하여 설치하려는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고, '설치' 를 누르면 재부팅되면서 '리커버리' 모드로 부팅되고 자동으로 설치된다. 그리고나서 다시 재부팅. 메뉴에 가서 버전을 확인해보면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설치 후에는 다운받은 이미지를 삭제하도록 한다.

삼성 순정롬으로 돌아가기

피치못할 여러가지 사정으로 순정롬으로 돌아가야 할 때가 있다. 유의해야할 점은 모델명에 따라서 서로다른 롬 파일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SKT 와 KT 용 노트3를 구입했었다. 리니지롬은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순정롬은 그렇지 않다.

통신사 모델명 롬파일
SKT N900S N900SKSU0GPI1_N900SSKT0GPI1_N900SKSU0GPI1_HOME.tar.md5
KT N900K N900KKKU0GPI1_N900KKTT0GPI1_N900KKKU0GPI1_HOME.tar.md5

'전원 + 홈 + 볼륨 하단'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모드로 부팅한다. USB 케이블로 PC 와 연결하고, 앞에서 사용한 오딘(Odin3 v3.13.1.exe)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AP' 를 체크하고 해당하는 롬파일을 선택하고 'start' 버튼을 누른다. 업로드 후 설치가 되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된다.

이때 만일 설치화면이 장시간 안뜨거나, 에러 창이 계속해서 뜬다면, 공장 초기화(factory reset)를 해야 한다. 먼저 recovery mode 로 부팅해야 한다. '볼륨 상단 + 홈 + 전원' 버튼을 눌러 부팅한다.
메뉴가 뜨는데, 'wipe data/factory reset' 을 선택한다.
참고로 볼륨키는 방향키로, 전원키는 확인키로 사용가능하다. 포맷이 되었으면, 'reboot system now' 를 선택해서 재부팅한다. 아마도 설치화면이 보일 것이다.

발생한 문제와 해결책

외장 메모리를 꽂으면,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묻는다.

  1. 앱 설치가 가능한 용도
  2. 외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

휴대폰의 기본 저장공간이 충분하다면, 2번 용도로 사용해도 된다. 하지만 note3 는 저장공간이 32GB 이기 때문에 몇 앱을 설치하다보면 금방 공간 부족에 시달린다. 따라서 1번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문제가 발생했다. 재부팅할 때마다 외장 메모리에 설치한 앱이 바탕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이다. 앱 자체가 삭제된 것은 아니기에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만들어놓으면 된다. 하지만,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하루에도 몇 번씩 껐다가 켜는데 매번하기에는 너무나 귀찮고 불편하다.

그래서 찾은 방법이 단축아이콘을 만들어주는 앱(Shortcuts maker)이다. 참고로 이 앱은 내부 저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SD 카드에 설치된 앱의 단축아이콘을 만들어 바탕화면에 놓는다.
그리고 나서 재부팅을 하면 아이콘들이 그대로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생각해보면, 부팅 후 UI 매니저인 노바런처가 실행되기 전에 SD 카드 인식이 안되기 때문인 듯 하다. 이건 H/W 적인 한계라고 생각한다. 휴대폰 본체와 SD 카드의 출시년도가 꽤 차이가 크다.

최근들어 발생한 문제로 결국 크롬을 삭제하고 '오페라 mini' 로 갈아탔다. 최대한 가벼운 브라우저로 갈아탄 것이다.

어느날 갑자기 금융앱(MG더뱅킹, 하나카드, 하나머니 등)에서 '루팅된 기기입니다' 라는 메세지와 함께 앱이 종료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리니지롬은 루팅된 롬이 아니고, 루팅체크 앱을 돌려봐도 루팅이 되지 않았다고 나온다('RootBeer Sample' 앱에서만 루팅되었다고 나왔다).

Magisk 라는 앱을 사용해서 루팅 후, 우회하는 방법을 여러 버전의 리니지롬과 Magisk, 모듈(safetynet-fix, 헬조선)을 사용해서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결국 다른 커스텀롬으로 시도했고, 'Havoc-OS' 라는 롬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 이 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Havoc-OS 3.x is based on AOSP, inspired by Google Pixel.
구글이 개발하고 배포하는 Android Open Source Project(AOSP) 를 기반으로 하고, 구글에서 만든 휴대폰인 Google Pixel 에서 영향을 받았다.

처음 구글이 배포한 코드에서 크게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결과적으로 순정롬에 가장 가까운 롬이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다음은 롬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파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설명
PC 윈도우 7 가 설치되어 있다
ROM Havoc-OS-v3.7-20200717-hltekor-Official.zip (https://sourceforge.net/projects/havoc-os/files/hltekor/ 에서 최신버전 다운로드)
App store open_gapps-arm-10.0-pico-20220215.zip (https://sourceforge.net/projects/opengapps/files/arm/20220215/ 에서 최신버전 다운로드)
USB 드라이버 휴대폰의 다운로드 및 리커버리 모드 진입 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
Odin(오딘) 리커버리 이미지를 휴대폰에 전송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Odin3 v3.13)
Recovery 이미지 twrp-3.7.0_9-0-hlteskt.img.tar (리커버리 모드에서 롬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다운로드 모드 진입 : 전원(power) + 가운데 버튼 + 볼륨 다운
리커버리 모드 진입 : 전원(power) + 가운데 버튼 + 볼륨 업

위의 파일들이 준비되었다면, 순서에 따라 시도해보자.

  1.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다운로드 모드로 부팅 후 진입하고, 휴대폰과 PC 를 USB 케이블로 연결한다.
  2. 오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AP' 항목에 Recovery 이미지 파일(twrp-3.7.0_9-0-hlteskt.img.tar)을 지정한다. 옵션 탭에서는 'F.Reset Time' 만 선택한다. 'Start' 클릭
  3. 휴대폰에 막대기가 끝까지 올라가고, 오딘 프로그램의 상단에 'PASS' 가 나오고, '<OSM> All threads completed. (succeed 1 / failed 0)' 메세지가 뜨면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는 키들을 누른다.
  4. 계속 누르고 있으면, 휴대폰 전원이 꺼지고 리커버리모드로 부팅한다.
  5.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Wipe' 를 누르고, 모든 파티션(Dalvik / ART Cache, System, Data, Internal Storage, Cache)을 선택하고 삭제한다.
  6. 처음 상위 메뉴로 돌아와 'Install' 메뉴를 누른다. 미리 준비한 ROM 과 APP store 파일을 휴대폰으로 복사한다. 이때 휴대폰과 PC 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복사가 완료되면 이파일들이 보일 것이다. 만일 Micro SD 가 있다면, 여기에 복사해도 된다.
  7. 먼저 ROM 설치하고나서 Dalbik, Cache 를 클리어 한다. 그리고 APP store 설치하고 Dalbik, Cache 를 클리어 한다.
  8. 재부팅
  9. 설치화면이 뜨고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얼굴인식을 하는 부분은 무조건 진행해야 한다.
  10. 과정이 끝나고, 앱스토어에서 'RootBeer Sample' 앱을 설치해서 루팅 감지가 되는지 확인한다.

위의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면, 루팅이 안되었다고 나올 것이다. 이제 금융앱들을 설치해서 탐지가 되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으로 실행이 될 것이다.

만일 일부 금융앱들(OK 저축은행, 키움증권)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다음 과정을 확인해봐야 한다.

  1. 내장 메모리 안에 'AAA' 라는 디렉토리를 만든다. 제대로 만들어지는지, 만일 접근권한이 없다면서 에러가 난다면, 리니지롬을 설치하고 나서, 다시 Havoc 롬을 다시 설치한다.
  2. 앞서 Havoc 롬을 설치하기 전, 리커버리 모드에서 twrp 실행 시, 'Unmodified System Partition' 이라는 창이 뜬다면, 'Swipe to Allow Modifications' 를 선택한다.

안드로이드 5.0 의 순정롬에서 'MG더뱅킹' 앱 실행 시, 로그인 화면이 뜨지 않은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대한 문제를 앱 스토어에 등록했고,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았다.

안녕하세요. 새마을금고입니다. MG더뱅킹 이용에 불편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해당 현상을 담당자에게 전달하였으며 불편하시겠지만 우선 Google Play 스토어에서 1. 크롬 검색 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2. Android 시스템 WebView 검색 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이용 부탁드리겠습니다. 조치 후에도 동일 현상이 반복되는 경우 새마을금고 고객센터(1599-9000, 평일 09:00~18:00)로 연락 주시면 세부적인 원인을 확인하여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용이 불편 드린 점 다시 한번 사과드리며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ndroid 시스템 WebView' 앱을 업데이트 한 후에 문제가 해결되었다.

PC 처럼 휴대폰도 오래 사용하다보면, 느려지고 에러 발생이 잦아지기 마련이다. 명확한 원인은 알기 어렵지만, 앱이 계속해서 업데이트가 되고 다른 프로그램들과 연동이 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럴 때는 재설치를 해주는 것이 좋다.

재설치(포맷)하는 방법

PC 처럼 휴대폰도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속도가 느려지고 앱 실행 오류가 잦아지게 된다. 이럴 때는 재설치를 해야 한다.
그전에 필요한 데이터(사진, 동영상, 다운로드 파일 등)를 백업해야 한다.

이후 메뉴에서 'System - Reset options - Erase all data(factory reset)' 를 선택한다. 재부팅이 되고,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1. 'Unmodified System Partition' 에서 'Swipe to Allow' 를 선택
  2. 'Wipe - Format Data' 를 선택
  3. 'yes' 를 입력
  4. 포맷 과정이 끝나면 'Reboot system' 을 선택

재부팅이 되면, 설치화면이 시작된다.

  • computer/embedded/samsung_galaxy_note3.txt
  • Last modified: 5 month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