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매장에서 사용하는 전자저울(Cas Cl-52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저울의 기능

크게 2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무게를 재고 단가에 비례하여 가격을 산정하고, 스티커를 출력할 수 있다.
저울 앞에 있는 버튼마다 상품번호를 매핑할 수 있다. 품목이 몇 개 안된다면, 버튼을 눌러 수작업으로 등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류가 많다면 전용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흥미롭게도 제품메뉴얼의 어디에도 사용법은 나와있지 않다.

참고로 비밀번호는 '011' 이다.

구글링을 통해 전용프로그램(CL-Works Pro_1.0.3_20190228 Latest as of 3.5.19.zip)을 다운로드 하고, 삽질을 통해 사용법을 익힐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CL-Works Pro, LabelEditor Pro 아이콘이 시작메뉴에 등록된다.

  • CL-Works Pro :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수정/삭제
  • LabelEditor Pro : 라벨 스티커 디자인을 추가/수정/삭제

프로그램을 설치했더라도, 환경이 설정되어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다. 전자저울에는 꽤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저울이 PC 바로 옆에 있다면, USB 가 좋겠지만, 어느정도 거리가 있다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 2대의 전자저울을 한대는 유선으로 나머지 한대는 무선으로 연결해놨다.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와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어야 한다. 저울의 전원이 켜질 때마다 IP 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저울 IP는 고정으로 설정해놓는 것이 좋다. ping 으로 서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CL-Works Pro 프로그램의 '설정 - 저울' 메뉴를 실행해서, 저울을 추가한다.

IP주소 TCP 포트 저울 모델 저울 형태 이름 상태 버전
192.168.0.201 20304 CL5200 Bench 반찬 연결됨 2.94.8,1.7,1
192.168.0.200 20304 CL5200 Bench 야채 연결됨 2.94.8,1.7,1

'연결테스트' 버튼을 클릭해서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프로그램에서 'PLU - 수신' 을 실행하면 전자저울에 저장된 상품정보가 다운로드되어 표시된다. '기존 데이터를 모두 비우고 저울에서 가져온 데이터만 표시합니다' 를 선택한다. '추가'버튼을 누르거나,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항목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등록할 수 있다.
입력항목이 꽤 많은데, 수정해야 할 항목들만 설명한다.

부문 품번 상품 종류 상품명1 상품명2 상품 코드 단가 성분 및 원료 분류 유효일 정가판매 광고번호 라벨번호
Default 1 1.중량 채소해물전 생산자:문전성시 201149 3000 1. 호박… 20 7 0.사용안함 1.보관방법.. 54
Default 3 2.개수 가져가는새이 생산자:들풀한아름 201103 6000 3. 들풀… 20 2 1.사용 2.수제가공.. 54
Default 5 1.중량 햇밤 괴산 201130 500 0.없음 20 0 0.사용안함 0.없음 31

숫자가 겹치지 않아야하고, 이후 저울에서 해당숫자를 눌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계량을 중량으로 할 것인지 갯수로 할 것인지 설정한다. '중량'은 물건을 저울에 올려놓고 무게가 측정되면, 단가에 비례하여 가격이 결정된다. '개수'는 무게와 상관없이 갯수를 저울에 입력하면 가격이 결정된다.

라벨지에 출력될 상품이름을 입력한다.

반찬이라면, 생산자이름을 입력하고 야채라면, 원산지를 적는다.

포스에 등록한 해당 품목의 코드를 동일하게 입력한다.

'중량' 이라면, 100g 당 가격을 입력하고, '개수' 라면, 1 개당 가격을 입력한다.

반찬이라면, 성분과 재료의 원산지 내용을 입력해야하는데, '데이터' 메뉴를 이용해서 사전에 등록해야 한다.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내용 번호를 선택하면 된다. 야채라면, 사용하지 않는다.

20 을 입력한다. 참고로 포스에 등록된 상품코드가 '20' 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값은 바코드출력코드를 만들어지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잘못입력하면, 포스에서 '등록되지 않은 상품' 이라고 뜰 수 있다.

반찬이라면, 유통기한 날짜를 적어준다. '가공일자'가 가격표를 출력하는 날짜로 자동 지정되기 때문에 하루가 지나면, 유효일 날짜를 바꿔줘야 한다(-1).

무게에 상관없이 정해진 가격에 판매한다면, '사용'으로 설정한다.

보관방법이나 상품에 대한 내용을 추가한다. '데이터' 메뉴를 이용해서 사전에 등록해야 한다.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내용 번호를 선택하면 된다. 야채라면, 사용하지 않는다.

출력할 가격표의 디자인을 선택한다. 참고로 전자저울에서 제공하는 라벨번호는 메뉴얼에 나와 있다. 라벨용지의 크기와 출력할 상품에 따라 다양하다. 원하는 디자인이 없다면, 직접 만들 수도 있다. 반찬의 경우 성분 및 원산지 표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야채보다는 좀 더 큰 라벨용지를 사용한다.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아이콘을 누르면, 좌측하단에 각 항목별로 메뉴들이 보인다. 먼저 '라벨광고'를 선택하자. '추가'를 누르면, 빈칸이 생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코드 메시지
1 보관방법:0`C~10`C 냉장보관
2 ※수제가공이니 빨리 드셔주세요!!

저장 후에 메뉴의 '전송' 을 눌러야 저울에 적용된다.
이번에는 좌측하단에 '성분' 메뉴를 선택한다.

코드 내용
1 호박(국산) 25%, 부추(국산) 25%, 오징어(국산) 25%, 부침가루, 소금, 홍고추
2 맛살(국산) 18%, 대파(괴산) 18%, 햄(국산) 18%, 단무지(국산) 18%, 느타리버섯(괴산) 18%, 소금, 계란, 밀가루, 포도씨유

역시 입력하고, 저장 후 '전송' 을 눌러야 저울에 적용된다.

라벨스티커 만들기

제품메뉴얼을 보면, 기본적으로 1~45번까지 라벨포맷을 가지고 있다. 라벨스티커의 사이즈별로, 출력되는 내용별로 나뉘어 있고, 사용하려는 번호를 지정하면 된다. 기본적인 저울무게와 단가, 가격, 바코드 같은 정보들만 필요하다면, 굳이 라벨포맷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기본 제공되는 포맷들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별도로 만들어야 한다. 메뉴얼에 따르면, 51~99번까지 만들 수 있다. 반찬의 경우, 원산지와 함유량이 출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 큰 사이즈의 스티커가 필요하다.
프로그램에서 '라벨' 버튼을 누르면, 포맷을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화면상으로 출력가능해보여도, 실제 출력해보면 짤리는 경우가 있으니, 여러번의 테스트가 필요하다.

'1500' 을 누르고, '메뉴'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를 묻는다. '011' 이고, '1. 라벨포맷'을 선택한다.

'공통라벨1 사용(1=Y/0=N)' 옵션에서 'N' 을 선택한다.
'라벨1번호' 옵션은 '54' 로 입력한다.

이렇게 옵션을 변경해야, 상품별 라벨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뉴에서 '라벨' 버튼을 클릭하면, 별도의 프로그램(LabelEditor Pro)이 실행된다. '새파일' 버튼을 클릭한다.

설정
이름 아무 값이나 입력
ID 51~99 중 입력(전자저울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번호를 피해서 지정한다)
가로/세로 반찬용(60×60), 야채용(60×40)

좌측의 '필드'를 누르면, 기존에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출력할 수 있다. 크기와 위치를 마음대로 지정할 수 있지만, 처음 설정한 용지의 크기 안에서 설정해야 한다.
좌측의 '라벨'을 누르면, 고정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바코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바코드'를 누른다. 원하는 디자인이 완성되었다면, 저장 후에는 반드시 '전송' 버튼을 눌러야 저울에 저장이 된다.
최소 2장 이상을 출력해서 출력 상태를 확인한다.

  • computer/gsfood/전자저울_사용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