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AWS 소개
Amazon Web Services 의 약자로서,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다. 단순히 쇼핑몰 업체라고만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현재(2021년 7월) 전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서버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여러가지 서비스들이 있는데, 이 중에서 EC2(Elastic Compute Cloud)는 확장가능한 클라우드 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필요한 서버 사양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AWS 장점
기존처럼 서버실에 직접 서버급 PC 를 구입해서 넣거나, 호스팅 업체를 통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매번 유지보수해야할 필요가 없다.
여러가지 다양한 요금제가 있기 때문에 자기에게 사용하는 패턴을 선택하면, 꽤나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규가입을 하면, 프리티어(Free-Tier)라고 해서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프리티어로서 EC2 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계정 생성
https://aws.amazon.com/ko/?nc2=h_lg 에 접속해서 계정을 만들 수 있다. 프리티어는 EC2 뿐만아니라 다른 일부 서비스들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EC2 인스턴스 생성
로그인을 하면 AWS 관리 콘솔 페이지가 뜰 것이다. EC2 를 선택하자. EC2 페이지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선택한다.
AMI 선택
서버의 OS 를 선택할 수 있는데, 프리티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정해져있다. 윈도우보다는 리눅스 계열이 좀 더 저렴하다. 무난한 Ubuntu Server 20.04 LTS (HVM), SSD Volume Type, 64비트(x86) 를 선택했다.
인스턴스 유형 선택
서버의 하드웨어를 선택한다. 역시 프리티어로 사용할 수 있는 사양(t2.micro)은 정해져있다.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네트워크(VPC), 서브넷 항목이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이들 항목들 먼저 생성한다.
프리티어이긴 하지만, 엄밀히 말해 100% 무료라고 할 수는 없다. 유료옵션들을 선택하면 추가요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테넌시, Elastic Inference 액셀러레이터 추가, 무제한 옵션을 체크하면 발생할 수 있으니, 잘 확인해야 한다.
스토리지 추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지정하는데, 프리티어로는 최대 30GB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AWS 에서는 여러 종류의 저장디스크를 마련해놓고 있다. 속도가 빠를수록 가격이 비싸다. 가장 일반적인 GP2 를 선택한다.
보안 그룹 구성
방화벽을 설정해야한다. 기본적으로 원격접속을 위한 ssh 포트를 열어놓고 있다. 이후 웹서버 또는 https 를 사용할 예정이라면 해당 포트를 열어놔야 할 것이다.
키페어 생성
외부에서 ssh 접속을 위해서는 key 파일이 필요하다. 이를 생성하고, 다운로드 받아 접속 시에 사용해야 한다.
탄력적 IP 주소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정 IP 를 부여 받아야 한다. 프리티어의 경우, 1개의 고정 IP 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