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란?

한마디로 말하자면 동적 IP 할당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에는 정적 IP 할당이라고 해서 일일이 자신에게 주어진 IP를 일일이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해야 했지만, DHCP를 사용하면 DHCP서버가 알아서 남는 IP를 할당해준다. 흔히 말해서 유동 IP를 사용하게끔 해주는 서버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그러므로, 고정 IP를 쓰는 네트워크라면, dhcp 서버는 필요가 없다.

들어가기 전에

이 문서는 Redhat 9 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dhcp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http://public.planetmirror.com/pub/isc/ 에서 최신버전을 다운 받도록 한다.
이미 dhcp 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전체설치를 했을 경우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설치되어 있으면, -e 옵션을 이용해서 지워준다. 여기서는 source 로 설치할 것이다.

#rpm -qa|grep dhcp

설치하기

압축을 풀고 컴파일해서 설치하도록 한다. 설치는 비교적 간단하다.

#tar xzvf dhcp-latest.tar.gz
#cd dhcp-3.0pl2
#./configure
#make 
#make install

설정하기

이제는 설정파일을 만들어줄 차례다. 여기서는 나의 환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vi /etc/dhcpd.conf

각자 자신의 환경에 맞게 설정하기 바란다.

ddns-update-style ad-hoc;
default-lease-time 600;
max-lease-time 7200;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 netmask address
option broadcast-address 220.73.8.255;  # broadcast address
option routers 220.73.8.254;   # gateway address
option domain-name-servers 168.126.63.1;   # nameserver address
option domain-name "myfeel.hoseo.ac.kr";   # domain name
 
subnet 220.73.8.0 netmask 255.255.255.0 {
        range 220.73.8.91 220.73.8.103;   # 할당해 줄 IP 대역을 적어준다. 
}

위에서 적은 옵션값들은 주석(#)을 참고하도록 한다. 이번에는 dhcp 의 상태 저장 파일을 하나 만들어 주어야 한다.

#touch /var/state/dhcp/dhcpd.leases

앞으로 이파일에는 dhcp 서버로 부터 IP를 할당받은 호스트의 정보나 dhcp 서버의 상태등이 기록된다.
이것으로 설정은 모두 끝났다. 이제 dhcp 데몬을 실행해보자!

#/usr/sbin/dhcpd
Internet Software Consortium DHCP Server V3.0pl2
Copyright 1995-2003 Internet Software Consortium.
All rights reserved.
For info, please visit http://www.isc.org/products/DHCP
Wrote 0 leases to leases file.
Listening on LPF/eth0/00:0c:29:1f:36:de/220.73.8.0/24
Sending on   LPF/eth0/00:0c:29:1f:36:de/220.73.8.0/24
Sending on   Socket/fallback/fallback-net

위와 비슷한 메세지가 나왔다면, 제대로 실행이 된 것이다.

  • computer/networking/dhcp_서버_구축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