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운동하기
프비는 레드햇과는 달리 패키지와 포트를 이용한 프로그램 설치 및 관리를 하고 있다. 이는 매우 편리한데, 예를 들어 아파치의 최신버전을 다운 받기위해 이리저리 다니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방법은 데비안에서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우리가 설치할 APM의 설정은 리눅스에서와 거의 비슷하다. 다만 다른 것이 있다면, 파일 경로일 것이다.
설치하기
본격적으로 설치에 들어가보자!
Apache
APM 순서로 설치할 것이다. 가장 먼저 Apache다. 우리는 포트를 이용해서 APM을 설치하기로 한다.
#cd /usr/ports/www
위의 디렉토리에 가면 apache로 시작하는 디렉토리가 몇개있을 것이다.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apache-jserv : Sun Java 서블릿 기능이 있는 자바 서블릿 엔진
- apache13 : apache1.3.x 포트
- apache13+ipv6 : IPV6용 아파치 포트
- apache-fp : 프론트페이지 확장이 추가된 아파치
- apache13-modssl : SSL 확장이 추가된 아파치(modssl구현)
- apache13-ssl : SSL 확장이 추가된 아파치(apache-ssl). 이 두가지는 https 서버를 만든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서로 구현이 틀리다.
이중에서 우리는 apache13을 설치할 것이다.
#cd /usr/ports/www/apache13 #make install clean
설치가 끝났다!
정말로 간단하다. FTP로 다운 받아서 컴파일해주고 설치까지 자동으로 해준다.
이제는 웹서버를 실행시켜보자!
#/usr/local/sbin/apachectl start
정지 시킬때는
#/usr/local/sbin/apachectl stop
웹브라우저를 띄워서 잘 뜨는 지 확인해보자!
☞ 참고로 설정파일인 /usr/local/etc/apache 아래에 있다. htdocs 디렉토리는 /usr/local/www/data 아래에 있다.
PHP
#cd /usr/ports/www/mod_php4 #make install clean
난데없이(?) 창이 하나 떳을 것이다. php포트를 설치하면서 추가적으로 기능을 첨가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리가 원하는 Mysql 에 대한 설정은 기본적으로 체크되어 있다. 이 외에도 더 첨가해주고 싶은 것이 있으면 별도로 첨가해 준다.
PHP는 설치하면서 자동으로 mysql323-client를 설치해준다. 정말 똑똑하당 ^^;
그렇지만, client이기 때문에 DB서버로써의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MYSQL
#cd /usr/port/database/mysql323-server #make install clean
설치가 되었으면, 데몬을 띄워보자!
#cd /usr/local/bin #./safe_mysqld #cd /usr/local/bin #./mysql
모두 설치가 끝났다면, 이제 실제로 제대로 연동이 되는지 확인해보자!
/usr/local/www/data 아래에 'phpinfo()' 테스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