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위키를 사용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될 플러그인에 대한 사용법을 다룬다. https://www.dokuwiki.org/plugins 에서 플러그인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설치된 플러그인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플러그인 설치와 설정

'확장 기능 관리자' 메뉴를 통해 설치가 가능하다. '수동설치' 탭에서 다운로드 주소를 적고, '설치'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문제없이 설치되었다면, '환경설정' 페이지의 플러그인 탭에서 해당 플러그인을 찾을 수 있고, 설정을 할 수 있다. 플러그인에 따라서 목록에 없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아래와 같이 해당 디렉토리에 가면 빠짐없이 확인할 수 있다.

#cd /var/www/html/dokuwiki/lib/plugins
#ls
accscounter  authldap   extension   pglist       safefnrecode  upgrade
acl          authpdo    gallery     popularity   shortcutkey   usermanager
action.php   authplain  include     randominc    styling       vshare
admin.php    captcha    index.html  randompage2  syntax.php    wrap
auth.php     cli.php    info        remote.php   tag           xbr
authad       config     numberof    revert       translation   yearbox

플러그인에 따라서 별도의 설정이 필요할 수도 있고, 설정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참고로 해당 플러그인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쿠위키 버전을 지원하는 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다.

Gallery

도쿠위키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자주 사용된다. 이름처럼 사진을 위키페이지에 올릴 때 사용하는 데,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gallery 이다.
위키페이지에 사진을 올린다면, 아래와 같이 적어주면 된다.

{{gallery>wiki:?*.png&100x400&=5&lightbox&random}} # 1
{{gallery>wiki:1?*.png&100x400&=5&lightbox&random}} # 2
사용인자 설명
wiki: 디렉토리명
*.png 파일명
100×400 썸네일 이미지 크기
=5 한 줄에 출력할 이미지 갯수
lightbox 썸네일을 클릭하면, 이미지가 전체화면이 되도록 설정
random 랜덤하게 이미지 표시

wiki 디렉토리(/var/www/html/dokuwiki/data/media/wiki) 아래의 있는 모든 png 파일들을 한 줄에 5개씩 랜덤하게 출력한다. 이때 wiki 디렉토리 아래에 하위 디렉토리(1)가 있고, 안에 사진파일(.png)이 있다면, 출력된다.

1 디렉토리(/var/www/html/dokuwiki/data/media/wiki/1) 아래의 있는 모든 png 파일들을 한 줄에 5개씩 랜덤하게 출력한다. 오직 1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사진파일(.png)만 출력된다.

디렉토리 경로를 달리함으로서,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사진만 출력할 수 있다.

Accscounter

해당 페이지에 몇명이 방문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accscounter 이다. 카운터를 사용하고 싶은 페이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counter}} person(s) visited this page until now.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1387 person(s) visited this page until now.

유의할 점은 'NOCACHE' 매크로를 해당페이지에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캐싱(caching)을 하게되면, 카운터 숫자가 증가하지 않는다.

~~NOCACHE~~

Authpdo

Database 와 연동해서 동작하는 플러그인이다. DB 를 사용할 게 아니라면 패쓰.

Captcha

스팸을 걸러내는 인증용도로서 사용되는 플러그인이다.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았다. 사실상 사용하지 않고 있다.

Changes

날짜별로 추가/수정/삭제된 위키페이지의 목록을 볼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changes 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해보자.

{{changes>}} # 1
{{changes>render = list(dayheaders)}} # 2

기본 사용 형태로서 수정된 페이지 이름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된다.

날짜가 표시되고, 같은 날 추가/수정/삭제된 페이지 이름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된다.

Include

위키 페이지 안에 또다른 위키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게 해준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include 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해보자.

{{namespace>test}} # 1
{{namespace>diary:2021}} # 2

'test' 라는 디렉토리(/var/www/html/dokuwiki/data/pages/test) 아래에 있는 모든 페이지 내용을 추가한다. 유의할 점은 디렉토리 경로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만일 test 아래에 5개의 위키페이지가 있다면, 5개 페이지의 모든 내용이 삽입된다.

'2021' 라는 디렉토리(/var/www/html/dokuwiki/data/pages/diary/2021) 아래에 있는 모든 페이지 내용을 추가한다. 만일 diary 아래에 5개의 위키페이지가 있다면, 출력되지 않고, 오로지 2021 디렉토리 아래의 모든 위키 페이지 내용만 삽입된다.

Randominc

랜덤한 위키페이지의 내용을 삽입할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randominc 이다. include 플러그인과 연동되기 때문에 사전에 설치되어야 한다. 아래와 같이 입력해보자.

{{randominc>book&max-height: 200px}} # 1
{{randominc>diary:2021&max-height: 200px}} # 2

book 디렉토리 아래의 위키페이지 중에 랜덤하게 선택된 페이지 내용을 삽입한다. 이때 book 아래 서브디렉토리(book/2021)가 있고, 안에 위키페이지가 있다면, 역시 랜덤하게 출력된다.

diary 아래 2021 디렉토리 아래의 위키페이지 중에 랜덤하게 선택된 페이지 내용을 삽입한다.

Shortcutkey

단축키를 통해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shortcutkey?s[]=plugin&s[]=shortcutkey 이다. '환경설정' 페이지의 플러그인 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 모든 페이지를 단축키로 설정할 수는 없다.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Tag

페이지에 태그(tag)를 달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tag 이다. 이를 통해서 향후 태그별로 출력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해보자. helper 플러그인과 연동되기 때문에 사전에 설치가 되어야 한다.

{{tag>book journey}}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book 이라는 태그 아이콘이 생성된다. 이를 클릭하면 해당 태그별로 출력이 될 것 같다. 사실 아직 확실하게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했다. 좀 더 알아봐야 한다.

Translation

위키페이지를 번역하는 페이지이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translation 이다. 참고로 이 플러그인은 자동으로 번역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언어별로 위키페이지를 만들면, 해당 언어의 이름으로 링크해주는 역할을 한다. 유의할 점은 각 언어별로 이름을 동일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 언어별로 디렉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playground' 라는 위키페이지를 영어(playground), 프랑스어(fr/playground), 한국어(ko/playground)로 만들었다면, 대표언어의 페이지는 상위에 나머지는 하위 디렉토리에 넣는다.

Wrap

페이지 입력 시에 여러가지 텍스트 효과를 줄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wrap 이다. 기본설치된 플러그인 중에 하나로 '환경설정' 메뉴에서 세팅가능하다.

Yearbox

도구위키를 일기나 스케줄러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yearbox 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2021년 ======
{{yearbox>year=2021;ns=diary;align=left}}
~~NOCACHE~~

2021년 한 해가 달력처럼 한 페이지에 출력된다. 해당 날짜를 클릭하면, diary 라는 디렉토리 아래에 2021 디렉토리 아래(diary/2021)에 'day-2021-08-07.txt' 파일이 생성된다. 저장 파일명의 형식은 '환경설정' 페이지에서 변경할 수 있다.

numberof

위키페이지의 갯수를 반환한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numberof 이다. 첫 페이지(start.txt)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NUMBEROFPAGES}} # 1
{{NUMBEROFPAGES>:game}} # 2

현재 위치(디렉토리)에서 저장된 위키페이지 수를 출력한다.

game 디렉토리 아래에 저장된 위키페이지 수를 출력한다.

randompage2

링크를 누르면, 랜덤하게 위키페이지가 열린다. Randominc 플러그인과 다른 점은 페이지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링크만 수정된다는 것이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randompage2 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randompage_link>Random</randompage_link>

'Random' 이라는 링크가 걸리는데, 이를 클릭하면, 랜덤하게 누를 때마다 다른 페이지가 뜬다.

pglist

등록된 페이지의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pglist 이다. 첫 페이지(start.txt)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book ======
{{pglist>book}} # 1
====== diary ======
{{pglist>diary}} # 2
{{pglist>diary:2021}} # 3

/var/www/html/dokuwiki/data/pages/book 아래에 있는 페이지들 중에 랜덤하게 뜬다.

/var/www/html/dokuwiki/data/pages/diary 아래에 있는 페이지들 중에 랜덤하게 뜬다. 만일 서브디렉토리(2021)가 있다면, 페이지가 있더라도 출력되지 않는다.

/var/www/html/dokuwiki/data/pages/diary/2021 아래에 있는 페이지들 중에 랜덤하게 뜬다.

xbr

기본적으로 도쿠위키에서는 한 칸을 띄우기 위해서는 '<br />' 을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키보드의 엔터키만으로 가능하다.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플러그인이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xbr 이다.

설치 후, 설정 페이지에서 'renderer_xhtml' 로 검색하여, 설정 값을 'XBR Plugin(plugin)' 으로 변경해주어야 적용된다.

Discussion

위키 페이지에 댓글을 허용하고 싶다면,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discussion 이다. 설치 후, 설정 페이지에서 세부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해당 페이지에 댓글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맨 아랫줄에 아래를 추가한다.

~~DISCUSSION~~

Typography

글자의 여러가지 효과(색, 크기, 폰트)를 줄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서, https://www.dokuwiki.org/plugin:typography 에서 자세한 사용법을 알 수 있다. 설치 후 페이지 작성시, 상단에 관련 아이콘이 등록되어 사용할 수 있다.

Pagenav

여러 위키페이지를 이동할 때, 필요한 플러그인이다. 매번 뒤로 갔다가 앞으로 이동할 필요없이 화면 하단의 화살표 링크를 클릭하면 이동할 수 있다. 홈페이지는 https://www.dokuwiki.org/plugin:pagenav 이다.
같은 디렉토리 안에 있는 위키 페이지(.txt)로 이동하고, '한글 > 숫자 > 영어' 순으로 이동한다. 아래의 예제를 참고하자.

day0
day1.1
day1
day1a
day1b
day2
day3

위의 순서대로 페이지가 이동한다.
또한 '=' 링크에 걸리는 페이지는 'start' 로서 디렉토리안에 만들어야 한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   // 모든 링크 출력
[<6>]  // '=' 링크 제외

Video Share Plugin

동영상의 썸네일을 바로 보여주는 플러그인이다. https://www.dokuwiki.org/plugin:vshare 에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Youtube 의 경우, 주소가 아래와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rdmNv92MIoM

'rdmNv92MIoM' 문자를 사용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사용가능하다.

{{youtube>rdmNv92MIoM}}

기본적으로 왼쪽 정렬이며, 가운데 정렬을 하고 싶다면,

{{ youtube>rdmNv92MIoM }}

하면 된다.

PDF 파일 생성하기

위키페이지를 PDF 파일 형태로 생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Dw2Pdf plugin'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https://www.dokuwiki.org/plugin:dw2pdf

설치 후에 전자책을 만들 수 있는 플러그인('Bookcreator Plugin')도 있다.

https://www.dokuwiki.org/plugin:bookcreator 에서 설치 가능하다. 세부 설정은 Configuration Manager 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이 적어주면 된다.

~~BOOK~~

html 을 pdf 로 변환 생성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특히 페이지에 포함된 사진이나 내용이 많다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어쨌든 리소스가 필요한 작업인 만큼, 호스팅 서버의 성능이 중요하다.
한글의 경우, 폰트가 그리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 computer/os/도쿠위키_플러그인_사용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