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나만의 위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금의 위키는 처음엔 호스팅 계정에 모든 위키 페이지와 첨부 파일들을 함께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위키 페이지와 첨부 파일들이 증가하면서 호스팅 계정 용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용량을 차지하는 파일들은 무료 계정(티스토리)에 분할 압축하여 업로드하여 외부 링크를 거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하지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첨부파일들을 불러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참을 고심 끝에 결국 처음 기존의 방식대로 호스팅 계정에 함께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했다.
용량의 압박이 있긴 하지만, 여러가지 환경에서 위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사용법

현재 호스팅 계정에 있는 위키를 기준으로 일정 기간마다 하나의 압축 이미지(tar.gz)를 만들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웹 서버와 PHP 가 가능한 환경이라면, 압축을 푸는 것만으로도 위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호스팅의 환경, 특히 파일 경로가 다를 수 있다. 이를 고려해야만 http://likewind.org 과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유의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호스팅의 경우, 모든 위키 파일들이 /home/hosting_users/fat81/www 아래에 있다. 이를 복사할 때는 아래와 같이 복사해준다.

#tar xzf www.tar.gz
#cd www
#cp -arf * /usr/local/apache/htdocs/
#cd /usr/local/apache/htdocs
#chmod -R 777 *

권한 설정을 해주어야만 페이지 수정이 가능하다.

페이지 버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유틸리티들이 있다. 현재 호스팅 계정에서는 /home/hosting_users/fat81/bin 아래에 있는데, 이것들이 없으면 버전관리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반드시 챙겨야 한다. 이것 역시 하나의 압축 이미지(tar.gz)로 만들 것이다. 나중에 복사할 때 경로에 유의하여야 한다.

#tar xzf bin.tar.gz
#cp -arf bin /home/fat81/
#cd /home/fat81/bin
#chmod -R 777 *

이 경로를 적용하기 위해 위키 설정 파일(config.php)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야 한다.

$path= '/home/fat81/bin:/bin:/usr/bin';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자!

Sync

어쩌면 가장 중요한 부분일지도 모르겠다. 여러 위치에서 위키를 사용하다보면, 각 위키마다 문서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은 호스팅 계정의 위키 이다. 내 생각에는 그게 3 가지(회사, 자우르스, 호스팅 계정)로 위키가 사용될 것 같다.
이 중에서 빈번한 수정이 일어나야 하는 위키는 바로 회사에서 사용하는 위키가 될 것이다.
나머지는 거의 보기만 하는 용도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일정 기간마다 회사의 위키를 호스팅의 위키로 업데이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는 가장 단순하게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이 되겠지만, 차후 문서의 차이점만을 알아내어 해당 파일만 복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 computer/os/로컬_위키_사용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