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리눅스의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의 리눅스와 미래의 리눅스에 대해서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겠다.
또한 리눅스는 장점과 왜 리눅스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두서없이 적어보겠다.

리눅스의 역사 및 발전 과정

리눅스는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즈 토발즈에 의해 처음 개발되어 졌다. 그 당시 미닉스 커널을 개량해 자신이 만든 커널 0.001 버전을 개발한 후에 혼자서 개발하기에는 한계(?)를 깨닫고, 뉴스그룹에 자신의 소스 코스를 올렸다. 어쩌면 이때 부터가 리눅스가 세상에 알려진 계기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그 후에 뉴스그룹에 공개된 소스를 보고 세계 개발자들이 동참하게 되었다. 그 때 당시 자유소프트웨어 재단(FSF)의 리차드 스톨만은 자신들이 만든 프로그램들(GCC,EMACE..)을 돌릴 커널을 구하고 있었다.
그 와중에 토발즈가 만든 커널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 때부터 우리가 흔히 부르는 리눅스(LINUX)는 바로 GNU/LINUX를 의미한다. 지금 2004년 초 현재 커널 2.6 까지 나온 상태이며, 그동안 리눅스는 눈부신 성장을 거듭했다.

리눅스의 오늘과 미래

내가 리눅스를 처음 접하던 2000년에만 하더라도 리눅스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이것은 순전히 나의 생각이다!)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응용프로그램이나 지원되는 하드웨어가 몇몇 유명한 메이커 제품들 외에는 없었다. 또한 시스템상의 설정을 바꾸려고 해도 며칠간의 삽질은 각오해야만 했을 만큼 관련 자료나 문서도 없었다.
또한 일반 회사 실무나 서버 시장에서 리눅스를 쓰는 곳은 대단히 드물었다. 그 만큼 기업들의 리눅스에 대한 관심 또한 미약했다.
하지만, 그로 부터 4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많이 바뀌었다.(혹자는 지금도 여전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리눅스 인터페이스가 예전보다 사용자에게 친숙해지고 편해짐에 따라, 사용자 층도 많이 두터워졌다. 일반 데스크탑용으로 많이 쓰고 있다. 특히나 한글 배포판으로 나왔던 와우, 미지, 한컴리눅스의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나 한글설정을 따로 해줄 필요없이 설치 후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리눅스 보급에 한 몫을 담당했다.
또한 그 동안 리눅스에 무관심 했던 서버시장에서도 리눅스의 장점을 살린(비용절감..) 기업들에 의해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작년에는 오라클이나 IBM 같은 대형 기업에서도 리눅스를 대대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만큼 이런 현상은 한 동안 지속될 것 같다.
앞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리눅스는 오픈소스이면서, 누구나 커널 개발에 참여가 가능하다.
리눅스는 여러모로 자기스스로 변해가고 있다. 사용영역도 점점 넓어지고 있고, 요즘에는 서버와 임베디드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나는 리눅스의 미래를 어느 정도의 조건 안에서 긍정적으로 본다. 여기 조건이라는 것은 몇가지가 있겠다.
첫번째, 사용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흔히 사람들이 리눅스를 떠올리면, 공짜OS 라는 것을 가장 쉽게 떠올린다. 또한 불안정하고, 어렵고 돈이 안된다는 생각이다.
벌써 리눅스가 만들어 진지 10년이 넘었다. 그 동안 앞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많은 발전을 거듭했다. 하지만 그 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변하지 않는 한 리눅스의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
2001~02 년에 걸처 우리나라에 리눅스 관련 업체들이 무수히 많이 생겨났었다. 모두들 리눅스가 돈이 된다고 믿고 앞뒤 안보고 사업을 시작한 회사들이었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회사는 몇 안된다. 리눅스의 기존의 다른 OS와는 다른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던 문제점이었다. 한마디로 뚜렷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했다. 그래서 흔히 사람들은 리눅스는 돈이 안된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난 다르게 생각한다. 리눅스는 공짜다! 라는 점보다는 리눅스의 다른 점을 부각시킨다면 충분히 리눅스로 성공할 수 있는 길은 항상 열려 있다.
마지막으로 리눅스의 장점을 얘기해 보겠다.(거의 다 아는 내용일테지만..)

리눅스의 장점

  1. 소스 코드가 개방되어 있다.
  2. 사용자에게 선택의 폭이 넓다.
  3. 강력한 네트워킹을 제공한다.
  4. 빠른 업그레이드
  5. 대부분 무료이거나 저렴한 비용으로 구할 수 있다.
  • computer/os/리눅스.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