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2014년 1월) 가장 우분투의 최신버전인 13.10 의 설치 및 설정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참고로 여기서는 우분투 서버 버전 13.10 을 사용했다.
그동안 우분투 설치를 꺼려했던 몇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한글관련 설정의 어려움
- 커널 및 컴파일러 버전이 너무 높은데 따른 개발 환경 설정의 어려움
- 타 배포판에 비해 무거움
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장점도 분명히 존재했다.
- 최신 드라이버를 탑재하고 있어, 왠만한 최신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인식함
여기서는 앞서 언급한 이유들에 대한 해결책을 위주로 설명하겠다.
한글 관련 설정 해결책
우분투에 비해 패키지 버전이 낮은 데비안의 경우에는 한글 입출력 관련 설정이 상대적으로 용이한데 비해, 우분투는 동일하게 명령어를 실행하더라도 프로그램 간의 충돌이나 라이브러리의 차이로 인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특히 13.10 의 경우, 한글 입력기인 ibus-setup 패키지를 설치했을 경우, 설정이 저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당연히 데비안에서는 문제없이 설정이 되었다. 결국에는 ibus 를 패키지로 설치하지 않고, 소스 설치를 하기로 했다.
나는 우분투를 최소설치로 지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이 사전에 없을 수 있다.
ibus 소스 설치
http://code.google.com/p/ibus/downloads/list 에서 최신 버전(ibus-1.5.4.tar.gz)을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tar xzf ibus-1.5.4.tar.gz #cd ibus #./configure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라이브러리가 없다고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생각보다 많은 것들을 요구하는데, 해결 방법은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이다.
아래는 ibus 를 컴파일하기 위해서 설치한 패키지들이다.
#apt-get install intltool #apt-get install pkg-config #apt-get install glib-2.0 #apt-get install gtk+-3.0 #apt-get install gtk+-2.0 #apt-get install dbus #apt-get install dbus-1-dbg #apt-get install libdbus-1-dev #apt-get install dconf-tools #apt-get install dconf-editor #apt-get install dconf* #apt-get install libnotify-dev #apt-get install uboot-mkimage #apt-get install u-boot-tools
위의 패키지를 설치하고 나면, 비로소 에러없이 빌드가 될 것이다. 설치(make install)하는 데, 경로는 /tmp 로 한다. 그리고 /tmp/bin 아래 가서 './ibus-setup' 을 실행한다. 이제 제대로 설정이 될 것이다.
기존과는 다르게 설정한 내용에 대해 저장이 될 것이다.
커널 및 컴파일러 버전이 너무 높은데 따른 개발 환경 설정의 해결책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면, 커널 컴파일을 통해 커널 버전을 낮추는 것일 테다. 하지만, 변경되어야 하는 커널과의 버전 차이가 크다면 빌드 후, 제대로 부팅이 안되거나 디바이스 인식이 안될 수 있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VMware 를 사용한 방법이다.
안드로이드 빌드의 경우, 13.10 의 네이티브(native) 환경에서도 에러없이 컴파일 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른 문서를 참고했다.
타 배포판에 비해 무거움에 대한 해결책
기존에는 우분투의 minimal 버전을 받아 설치했다. 우분투 desktop 버전은 설치과정에서 패키지를 선택할 수 없고, 전체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우분투 server 버전을 설치하면 설치과정에서 패키지를 선택하는 stage 가 나온다.
외부 모니터 사용하기
노트북의 확장모니터 VGA 포트에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모니터를 VGA 포트에 꼽고, 모니터 전원을 켠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xrandr Screen 0: minimum 320 x 200, current 3286 x 1080, maximum 32767 x 32767 eDP1 connected 1366x768+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277mm x 156mm // 노트북 모니터(eDP1) 1366x768 60.0*+ 1360x768 59.8 60.0 1024x768 60.0 800x600 60.3 56.2 640x480 59.9 DP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HDMI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DP2 connected 1920x1080+1366+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509mm x 286mm // 확장 모니터(DP2) 1920x1080 60.0*+ 1600x1200 60.0 1680x1050 60.0 1280x1024 75.0 60.0 1440x900 75.0 59.9 1280x960 60.0 1280x800 59.8 1152x864 75.0 1024x768 75.1 70.1 60.0 832x624 74.6 800x600 72.2 75.0 60.3 56.2 640x480 75.0 72.8 66.7 60.0 720x400 70.1 HDMI2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위의 명령어 결과를 보면, 확장 모니터를 인식했음을 알 수 있고, 지원하는 최대 해상도가 1920×1080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설정해주는 일만 남았다.
#xrandr --output DP2 --mode "1920x1080" --right-of eDP1 // 확장 모니터를 노트북 모니터의 오른쪽에 출력하도록 설정
특정 키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하기
현재 업무 개발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lenovo X240s 의 경우, 터치패드가 동작하여 타이핑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한다. 급기하, 터치패드를 disable 하기위한 방법을 구글링했다.
/etc/X11/openbox/autostart 파일에 아래를 추가한다.
/usr/bin/xinput set-prop $(xinput | grep TouchPad | awk '{print $6}' | awk -F= '{print $2}') "Device Enabled" 0
더이상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VMware 메뉴 폰트 바꾸기
vmware 의 경우, gnome library 를 사용하지 않는지 설정을 해도 메뉴같은 폰트가 바뀌지 않는다. 이에 대한 방법을 아주 우연히 찾았다. 100% 확실하지는 않지만, 시도해 볼만은 하다.
이 방법은 'gparted'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인데, 이것은 파티션을 나누는 프로그램이다.
#apt-get install gparted
설치 이후, vmware 를 실행해보자. 메뉴의 폰트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배터리 잔량 체크하기
우선 먼저 upower 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apt-get install upower
전체적인 배터리 상태는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upower -i /org/freedesktop/UPower/devices/battery_BAT0 native-path: BAT0 vendor: SONY model: 45N1111 serial: 82 power supply: yes updated: 2014년 02월 12일 (수) 오전 11시 05분 42초 (25 seconds ago) has history: yes has statistics: yes battery present: yes rechargeable: yes state: charging energy: 5.94 Wh energy-empty: 0 Wh energy-full: 22.97 Wh energy-full-design: 23.2 Wh energy-rate: 28.328 W voltage: 12.132 V time to full: 36.1 minutes percentage: 25% capacity: 99.0086% technology: lithium-polymer History (charge): 1392170742 25.000 charging 1392170712 24.000 charging 1392170682 23.000 charging History (rate): 1392170742 28.328 charging 1392170712 28.393 charging 1392170682 28.106 charging
여기서 필요한 정보만 추려내려면,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upower -i /org/freedesktop/UPower/devices/battery_BAT0 | grep -E "state|to\ full|percentage" state: charging // 충전 중 time to full: 35.5 minutes // 완충까지 걸리는 시간 percentage: 26% // 현재 잔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