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리눅스 | 리눅스 역사 및 특징을 소개 |
배포판의 종류 | 각 배포판들의 종류와 특징을 소개 |
리눅스 부팅과정 | 스크립트 측면에서 바라본 부팅과정 설명 |
유용한 명령어 | 자주 쓰이는 명령어를 소개 |
부팅 디스켓 만들기 | 리눅스의 부팅 디스켓을 만드는 과정을 소개 |
한글화 가이드 | 한글을 입출력하기 위한 방법 |
폰트 추가하기 | 한글 폰트를 추가하기 위한 방법 |
바이오스 CDROM 부팅없이 설치하기 | CDROM 이 없이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 |
Redhat 한글화 하기 | 구버전의 레드햇(7.2 or 8.0)에서 한글화를 하는 방법을 소개 |
LFS(Linux From Scratch) 설치하기 | 하나 부터 열까지 일일이 컴파일해서 설치해야 하는 LFS 를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 |
USB 메모리에 리눅스 설치하기 | USB 메모리에 리눅스를 설치함으로서, 어디서든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디스켓 2장으로 리눅스 만들기 | 플로피 디스켓 2장으로 리눅스를 만들 수 있는 방법 소개 |
리눅스 커널 핵심가이드 | 리눅스 커널에 관한 모든 것 |
커널 컴파일 가이드 | 3.x 대 커널 컴파일 방법 소개 |
Moniwiki 설치하기 | 최신버전의 모니위키(1.3.1)를 설치하는 방법 소개 |
Moniwiki 설치하기 - 제2판 | 수정 포인트 정리 |
Cafe24 에 Moniwiki 설치하기 | 웹 호스팅 업체 서버에 모니위키 설치 방법 정리 |
WIKI TIPS | 모니위키 사용시 필요한 팁 정리 |
로컬 위키 사용하기 | 오프라인에서 모니위키를 사용하는 방법 |
도쿠위키 사용하기 | Dokuwiki 소개와 설치, 사용법 소개 |
도쿠위키 플러그인 사용하기 | Plugin 활용법 |
Debian
데비안 설치하기 | 데비안을 설치하는 과정을 소개 |
VMware 에서 데비안 설치하기 | VMware 에서 데이안을 설치하는 과정을 소개 |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노트북에 데비안을 설치하는 과정 소개 |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제2판 | 새롭게 업데이트 된 데비안 설치법 설명 |
데비안에서 커널 컴파일하기 | 커널 컴파일하는 방법 소개 |
Gentoo
Gentoo | 젠투의 특징 및 소개 |
Gentoo 설치하기 | 젠투를 설치하는 과정 소개 |
Gentoo 프로그램 설치 및 설정 | 젠투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법 |
Gentoo Howto | 젠투 사용시에 유용한 팁들 |
Ubuntu
X1 에 우분투 설치하기 | X1 카본 노트북에 Ubuntu 설치 및 설정 방법 소개 |
우분투 13.10 설치하기 | 현재(2014/01) 최신버전인 13.10 설정 방법 정리 |
Unix
FreeBSD
FreeBSD | FreeBSD 소개 |
FreeBSD 설치하기 | FreeBSD 설치 과정 소개 |
Solaris
솔라리스 설치하기 | 솔라리스 설치과정 소개 |
Vmware 에서 Solaris 설치하기 | VMware 에서 솔라리스를 설치하는 방법 |
Windows
X1 에 Windows 7 설치하기 | 고스트를 이용한 Windows 7 설치 과정 |
X40 에 Windows 2000 설치하기 | 노트북에 Windows 2000 설치시 필요한 것들 정리 |
Windows 2000 에서 moinmoin 설치하기 | 모인모인 설치 방법 소개 |
Windows 2000 에서 moniwiki 설치하기 | 모니위키 설치 방법 소개 |
Windows 2000 에서 AP 설치하기 | Apache + Php 설치 방법 소개 |
OrCAD 설치하기 | OrCAD 설치 방법 소개 |
X1 에 Windows 8 복구 및 설치하기 | 윈도우8 재설치를 위해 필요한 것들 설명 |
PC 사용팁 | PC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책 정리 |
MS-Word 를 이용한 효과적인 문서작성 방법 | MS-Word 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설명 |
기타
유용한 북마크 모음 | 자주가는 북마크 소개 |
자료 백업하기 | 자료 백업 시에 알아두어야 할 내용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