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배포판(와우나 한컴)의 경우에는 설치후에 별도의 한글화 작업이 필요치 않지만, 한글 배포판이 아닌 Redhat, Debian, Mandrake, Gentoo 등의 배포판의 경우에는 설치후 한글을 보거나 쓰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
물론 레드햇의 경우 기본적으로 설치시에 언어를 'Korean' 으로 잡아주면, 설치후에 바로 한글을 보거나 쓸 수 있다. 하지만, 기본으로 제공되는 한글 폰트는 우리들이 봐오던 글꼴과는 달리 예쁘거나 심플하지 않다.
들어가기 전에
여기서는 Redhat 9 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각 배포판들마다 약간씩 세팅방법이 틀릴 수 있으니, 유의하기 바란다.
현재 나의 리눅스 박스에는 KDE 와 GNOME 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각각의 Window Manager 마다 설정 방법이 다르다.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KDE 와 GNONE 의 설정방법을 모두 알아볼 것이다. 자신이 둘 중 어느 한가지만, 사용한다면 입맛에 맞게 골라서 세팅하기 바란다.
한글 파일명 보기
터미널에서 한글로 되어있는 파일을 보면, 깨져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 때는 /etc/fstab 파일을 다음과 같이 'iocharset=cp949' 를 추가해준다.
#vi /etc/fstab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none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none /proc proc defaults 0 0 none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sda2 swap swap defaults 0 0 /dev/cdrom /mnt/cdrom udf,iso9660 iocharset=cp949,noauto,owner,kudzu,ro 0 0 /dev/fd0 /mnt/floppy auto iocharset=cp949,noauto,owner,kudzu 0 0
위에서는 CD롬과 플로피에만 설정을 해주었다. 주의할 것은 다른 하드 파티션에 써주면 리부팅 후에 부팅이 안된다는 것이다. 위의 설정은 재부팅해야만 적용이 된다. 즉시 적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
#mount -t vfat -o iocharset=cp949 /dev/cdrom /mnt/cdrom
한/영, 한자키 사용하기
다음과 같이 몇 줄 추가해준다.
#vi /etc/X11/Xmodmap ! i386 and alpha keycode 22 = BackSpace keycode 107 = Delete keycode 121 = Hangul_Hanja keycode 122 = Hangul
수정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xmodmap /etc/X11/Xmodmap
실행한다.
폰트 설치하기
여기서는 .ttc 와 .ttf 폰트파일을 사용해서 좀더 예쁜 폰트를 사용해보자! 우선 리눅스에서 사용할 폰트를 구해야 한다. 윈도우에 있는 폰트를 사용해도 되고, 어둠(?)의 경로에서 구해도 되겠다.
나는 각각 gulim.ttc 와 HMBC.TTF 을 구했다. 참고로 gulim.ttc 는 예전에 윈도우98에서 추출하고, 예전에 만들었던 폰트 설정파일(fonts.alias , fonts.dir)을 이용해서 설치할 것이다.
#ls gulim.ttc fonts.alias fonts.dir HMBC.TTF #mkdir /usr/X11R6/lib/X11/fonts/ms-gulim/ #mkdir /usr/X11R6/lib/X11/fonts/hmbc #cp gulim.ttc fonts.alias fonts.dir /usr/X11R6/lib/X11/fonts/ms-gulim/ #cp HMBC.TTF /usr/X11R6/lib/X11/fonts/hmbc/
각각 디렉토리에 폰트와 설정파일들을 복사했으면 본격적으로 폰트를 설치해보자.
gulim.ttc 설치
X윈도우의 핵심 파일이라고 할 수 있는 XF86Config-4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준다.
#vi /etc/X11/XF86Config-4
주의할 점은 'Module' 에서 'freetype' 을 반드시 주석처리를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Section "Files" # FontPath "/usr/X11R6/lib/X11/fonts/local/" # ModulePath "/usr/X11R6/lib/modules" RgbPath "/usr/X11R6/lib/X11/rgb" FontPath "/usr/X11R6/lib/X11/fonts/misc/" FontPath "/usr/X11R6/lib/X11/fonts/75dpi/:unscaled" FontPath "/usr/X11R6/lib/X11/fonts/100dpi/:unscaled" FontPath "/usr/X11R6/lib/X11/fonts/Type1/" FontPath "/usr/X11R6/lib/X11/fonts/ms-gulim" # 폰트를 복사해준 경로 FontPath "/usr/X11R6/lib/X11/fonts/Speedo/" FontPath "/usr/X11R6/lib/X11/fonts/my" # 폰트를 복사해준 경로 FontPath "/usr/X11R6/lib/X11/fonts/75dpi/" FontPath "/usr/X11R6/lib/X11/fonts/100dpi/" # FontPath "unix/:7100" EndSection Section "Module" Load "dbe" # Double buffer extension Load "extmod" Load "type1" Load "xtt" # .TTC 나 .TTF 폰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해주어야 한다. # Load "freetype" # 반드시 주석처리 해준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vi /etc/font/font.conf
폰트 설정 파일에 폰트 경로를 추가해준다.
<dir>/usr/share/fonts</dir> <dir>/usr/X11R6/lib/X11/fonts/Type1</dir> <dir>/usr/X11R6/lib/X11/fonts/ms-gulim</dir> # 폰트 경로 추가 <dir>/usr/X11R6/lib/X11/fonts/my</dir> # 폰트 경로 추가 <dir>/usr/X11R6/lib/X11/fonts/OTF</dir> <dir>~/.fonts</dir>
이제 폰트 설치가 끝났다. X 윈도우를 시작해서 제어판에서 글꼴 설정 부분을 유심히 보기 바란다. 우리가 앞에서 설치해준 폰트가 등록이 되어 있을 것이다.
설정해서 예쁘게(?) 사용하는 일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