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 7.2 나 8.0 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때문에 8.0 이후의 RedHat 이나, 다른 배포판의 경우에는 제대로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 적용 가능한 배포판 : RedHat 7.2 또는 8.0 기반의 와우 리눅스, 한컴 리눅스

왜 한글화가 필요한가

RedHat 에서 Fedora 3 가 나온 현재 까지도, 외국 배포판의 경우 기본적으로 한글이 완벽히 지원되는 배포판은 없다. 예전에 비하면 많이 나아진 편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Windows 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리눅스를 처음 접한 사용자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것이 바로 한글 설정인데, 특히 RedHat 의 경우 기본으로 제공하는 한글 폰트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굴림체나 돋움체가 아닌 백묵체라는 점이다. 또한 한글로된 출력이 깨지거나 하는 점이다. 그래서 한글화는 반드시 해주어야 하는 필수 작업이 되었다.

만일 이런 작업이 싫다면, 와우나 한컴 리눅스 같은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
그렇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한글화 작업에 들어가보자!!

한글화 작업

☞ 한글화하기 전에 알아두셔야 할 것들!!

설치하실때 '사용할 언어 선택하는 부분' 에서 한국어와 영어(English, USA) 항목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1. 시스템에서 사용할 언어 : 한국어
  2. 추가로 사용할 언어 : 영어, 한국어

그럼 본격적으로 한글화를 해 보도록 하죠~

☞ 한글 파일명 보기

만일 윈도우 파티션을 마운트 하셨다면, 한글로 된 파일들이나 디렉토리명이 깨져나올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합니다.

/etc/fstab 파일에서 'vfat' 바로 오른쪽에 있는 'defaults'를 'iocharset=cp949'로 수정합니다. 그리고 cdrom과 floppy도 마찬가지로 'iocharset=cp949'를 추가합니다. 다음과 해줍니다.

이 내용은 시스템을 재부팅해야 적용이 됩니디만 즉시 적용하고 싶으시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umount /mnt/c
#mount -t vfat -o iocharset=cp949 /dev/hda1 /mnt/c

CDROM의 경우에는 /etc/fstab에 iocharset=cp949 옵션을 추가하는 것으로 바로 적용이 됩니다.

☞ 한/영, 한자 키 사용하기

/etc/X11/Xmodmap 파일에서 'i386 and alpha' 아래 부분에 주석(!)을 해제하고 추가로 한자/한글 키에 대한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합니다.

저장한 뒤 즉시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또는 X윈도우를 다시 시작하면 적용됨)

#xmodmap /etc/X11/Xmodmap

☞ 윈도우용 글꼴 사용하기(굴림체, 바탕체)

윈도우용 글꼴을 사용하려면, gulim.ttc와 batang.ttc파일이 필요합니다. 이 파일들은 각각 윈도우98 CD에서 추출하셔야 합니다. 또는 제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으셔도 됩니다.

임의에 디렉토리에 받으셨다면(여기서는 /tmp 로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폰트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cd /usr/X11R6/lib/X11/fonts
#mkdir ms-gulim
#mkdir ms-batang

그리고, 폰트를 각각의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

#cp /tmp/gulim.ttc /usr/X11R6/lib/X11/fonts/ms-gulim
#cp /tmp/batang.ttc /usr/X11R6/lib/X11/fonts/ms-batang

이제 fonts.dir , fonts.alias 파일이 필요합니다. 이것 역시 제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것 역시 임의 디렉토리(/tmp)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압축을 풀어줍니다.

#unzip ms-fonts.zip
#ls
ms-gulim	
ms-batang

두개의 디렉토리가 풀려나올 것입니다. 각각의 디렉토리에는 fonts.dir , fonts.alias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그것을 각각

/usr/X11R6/lib/X11/fonts/ms-gulim 과 /usr/X11R6/lib/X11/fonts/ms-batang 에 복사합니다.
 
#cp /tmp/ms-gulim/* /usr/X11R6/lib/X11/fonts/ms-gulim
#cp /tmp/ms-batang/* /usr/X11R6/lib/X11/fonts/ms-batang

다음에는 /etc/X11/XF86Config-4 파일을 편집해주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세줄을 추가해 줍니다. 어디에 추가했는지 위치를 잘 보세요!!

☞ 여기서 한 가지 주의사항이 있는데 위의 모듈 리스트에서 “freetype”이 있을 경우 이를 반드시 삭제하거나 주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freetype”과 “xtt”가 동시에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둘 중 하나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해서 윈도 트루타입 글꼴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X윈도우를 재시작하면 X윈도우는 트루타입 글꼴을 읽어들일 것입니다.
KDE는 X윈도에서 글꼴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KDE 제어판에서 다음 화면과 같이 글꼴을 'gulim 10 기본설정'으로 변경합니다.
고정폭 글꼴은 'gulimche'로 합니다. (gulim이 없으면 ms-gulim으로 선택하세요)
그리고 주의사항! 글꼴 선택 상자에서 디폴트로 gulim 또는 ms-gulim이 선택되어 있더라도 반드시 다른 글꼴을 선택한 다음에 다시 gulim 또는 ms-gulim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해보시면 압니다. 디폴트로 gulim이 되어있다고 해서 무턱대로 바로 확인을 눌러버리면 글꼴이 변경되지 않고 기존의 글꼴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반드시 다른 글꼴 선택 상자의 미리보기에서 gulim 글꼴이 맞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중요!!!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Use Anti Aliasing for fonts and icons' 항목에 체크 표시를 지워야 합니다!!!

이번에는 Gnome의 설정을 살펴보겠습니다.
/etc/gtk/gtkrc.ko 파일에서 fontset 부분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 차후에 X윈도를 재시작하지 않고 글꼴을 읽어들이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입력합니다.

#xset fp+ /usr/X11R6/lib/X11/fonts/ms-gulim
#xset fp+ /usr/X11R6/lib/X11/fonts/ms-batang
  • computer/os/redhat_한글화_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