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것보다도 알고 있으면, 삽질을 하지 않도록 해주는 정보들을 모아두었다.
네트워크 주소
IP Addr | 166.104.144.101 |
Subnet | 255.255.255.0 |
Gateway | 166.104.144.1 |
DNS | 166.104.27.6 |
휴인스 ID
현재 휴인스에서 나온 보드를 사용하기 있기 때문에, 휴인스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얻기 위해서는 VIP 계정이 필요하다.
ID | rtcc |
PASS | rtcc001 |
이메일 주소
연구실 내에서 사용하는 메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
wjkim@rtcc.hanyang.ac.kr |
Outlook Express 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설정이 필요한데,
SMTP | rtcc.hanyang.ac.kr |
POP | rtcc.hanyang.ac.kr |
'보내는 메일서버' 항목에 '인증필요' 에 '체크' 한다.
RTong 서버
프린터 잡기
특이하게도, 프린터 서버라고 하는 특별한 장비에 물려 있다. 장비가 넷기어http://www.netgear.co.kr 라는 곳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이곳에서 설치 파일을 받아야 한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이 필요하다. HP LaserJet 2420 이다. 이 것 역시 HP 홈페이지에서 드라이버를 받아야 한다.
이름 | 모델명 |
프린터서버 | PS101 |
프린터 | HP LaserJet 2420 |
먼저 프린터 서버 부터 설치한다. 자세한 설치 방법은 http://www.netgear.co.kr/Support/Product/SupportView.asp?IDXNo=41 에 있다.
그리고 나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다음은 최종 수정된 프린터 서버 잡는 방법이다. 프린터 서버 제품이 바뀌었기 때문에 당연히(?) 설치 방법도 바뀌었다.
먼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프린터 모델은 앞에서와 같이 'HP LaserJet 2420' 이다.
'제어판 → 프린터 → 프린터 추가 → 로컬 프린터(플러그 앤 플레이 프린터를 자동으로 검색 및 설치 체크 해제) → 새 포트 만들기(Standard TCP/IP Port)' 를 선택한다.
프린터 이름 또는 IP 주소 | 166.104.30.32 |
장치 종류에서 '사용자 정의' 를 선택한다. 프린터 추가 마법사에서 앞에서 설치한 프린터 드라이버를 찾아서 선택해주면 된다.
프린터 서버는 웹서버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http://166.104.30.32 으로도 접속해서 설정할 수 있다.
메인보드 SATA 설정하기
현재 내가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PC 는 SATA 방식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윈도우 설치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의 원인은 하드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상한 것은 리눅스는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는 것이었다. 왜일까?
몇 번의 삽질끝에 문제의 원인을 알아냈다.
메인보드 CMOS BIOS 의 RAID 설정이 잘못되었던 것이다.
'Features Setup → OnBoard PCI IDE Controller' 을 'Both' 로 설정하고, 'OnBoard PCI S-ATA Controller' 을 'IDE' 로 설정한다.
앞의 설정해준 값의 경우, 'Load Optimal Defaults' 를 선택하여 기본값으로 설정을 할 경우, 변경되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처음에 잘못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눅스가 설치되었던 이유는 리눅스 설치시에 SATA 하드 디스크의 드라이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반해 윈도우는 드라이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식하지 못했던 것이다. 리눅스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