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티션을 이미지로 만들고, 복원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존에 고스트는 윈도우 파티션만 가능했지만, 이제 리눅스도 가능해졌다. 단시간에 재설치가 가능해졌다.

준비운동하기

고스트는 아니지만, 오픈소스로 고스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받아야 한다.

  1. Partimage (http://www.partimage.org/Download) : Stable → Bootable CD-Rom image with partimage (SystemRescueCd-v3.1.2)
  2. http://www.linuxliveusb.com/en/download : ISO 이미지를 USB 메모리에 심는 프로그램 (v2.8.18)

먼저 Partimage 라는 프로그램이 담긴 ISO 이미지(systemrescuecd-x86-3.1.2.iso)를 받는다. 이를 CD 에 구워도 되지만, 여기서는 USB 메모리에 설치하도록 한다.
설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이것이 위에 있는 linuxliveusb 이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옵션을 설정하고 USB 에 설치한다.

성공적으로 설치가 되었으면, USB 로 부팅한다. 백업과 복원을 설명하기 전에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하드 파티션 sda1(/ 파티션), sda2(스왑 파티션) sda1 파티션만 백업한다
백업 방법 별도에 외장하드를 연결하여 백업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한다 마운트 디렉토리(/mnt/hard)

백업하기

USB 부팅시 나오는 메뉴에서 그냥 엔터를 친다. 마치 리눅스 Live CD 로 부팅하듯이 부팅한다.
쉘 프롬프트가 뜨면, 외장하드를 연결하고 마운트한다.

#mkdir -p /mnt/hard
#fdisk -l                      // 여기서 백업할 파티션과 외장하드의 디바이스 이름을 알아낸다.
#mount /dev/sdc2 /mnt/hard
#partimage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각 항목에 대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1. Partition to save/restore: 백업할 하드 파티션을선택한다. 여기서는 sda1 이다.
  2. Image file to create/use : 만들 고스트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mnt/hard/debian.tar 이다.
  3. Action to be done: Save partition into new image file 선택한다.
  4. Connect to server: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고스트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따로 설명은 안하겠다.

위와 같이 설정한 후 F5 키를 누른다.

  1. Compression level : 각 옵션별로 특징이 있다. 여기서는 기본 설정을 따른다.

이외의 다른 설정도 기본 설정을 따르고, F5 키를 누른다.

  1. You can enter a description of the saved partition: 백업할 하드 파티션을 다시한번 선택한다. 여기서는 sda1 이다.

이외의 다른 설정도 기본 설정을 따르고, F5 키를 누른다.

OK 를 누른다.

파티션 이미지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복원하기

이제 앞서 생성한 고스트 이미지를 가지고 복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역시 앞서 얘기한대로 USB 로 부팅 후, 외장하드를 마운트하고 partimage 를 실행한다.

  1. Partition to save/restore: 이미지를 복사하여 복원하려는 하드 파티션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sda1 이다.
  2. Image file to create/use: 고스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곳, 여기서는 /mnt/hard/debian.partimage.tar.000 이다.
  3. Action to be done: Restore partition from an image file 를 선택한다.
  4. Connect to server: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고스트 파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로 설명은 안하겠다.

위와 같이 설정한 후 F5 키를 누른다.

기본 설정 그대로를 사용하고 F5 키를 누른다.

yes를 누른다.

복원이 진행되고, 완료되면, 쉘 프롬프트 상태로 빠져나온다.

유의사항

위의 내용만 주의하면 완전100% 복구 된다.

  1. 리눅스의 boot 부분은 복구가 안된다. hdd가 완전히 망가졌을 경우 linux(백업한리눅스버젼이일치하는것으로) 를 다시 인스톨해야한다. 아주 기초적인것만 인스톨하면 되고, 대략 5분정도도 안걸린다.
  2. sql db같은것은 따로 복구하시는것이 좋다. 어차피 매번 고스트 떠놓기 힘들기 때문에 crond를 이용하여 계속 자동백업으로 받아 놓는것이 좋다. 고스트는 서버 관리용 설정파일과 디랙토리 권한등과 같이 서버 차체 설정만 백업받는 다고 생각하시는것이 좋다.
  • computer/system/리눅스용_고스트_사용하기.txt
  • Last modified: 3 years ago
  • by like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