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별로 동작하는 무선 로그를 가지고 분석한 내용을 기술했다.
suspend, resume
노트북
노트북의 경우, 화면을 닫거나 Function 키를 이용하여 suspend 모드로 들어갈 때, 무선 디바이스는 어떻게 동작할까?
무선 패킷을 캡쳐하기 위해 쉴드룸에서 무선 AP 를 접속한 상태로 suspend, resume 을 동작시켰다. 총 2대의 노트북을 사용했는데, 모델명은 각각 IBM X40, Lenovo X240 이다.
X40 은 Debian7, X240 은 Ubuntu 13.10 이 설치되어 있다.
X40 : pm_notebook.pcapng
- 로그를 보면, suspend 진입 시, 아무런 패킷도 STA 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 이후 resume 된 상태에서 'Null function 패킷' 이 나간다(STA → AP). Flags 값을 보면, '0x01 으로서 PWR MGT : STA will stay up' 로 설정되어 있다.
X240 : pm_notebook2.pcapng
- suspend 로 진입하면, 'Deauthentication 패킷(Deauthenticated because sending STA is leaving)'이 나간다(STA → AP). 다시말해 STA 에서 강제로 접속을 끊는 것이다. 참고로 Flags 값은 0x00 이다.
- 이후, 다시 resume 을 하면, 기존에 접속했던 정보로 접속 시도를 한다.
휴대폰
휴대폰의 경우, AP 에 접속한 뒤에 전원키를 눌러 화면을 OFF 시켰다. 그리고 다시 전원키를 눌러 화면을 ON 시켰다.
- 로그를 보면, 화면이 OFF 됨과 동시에 'Null functon 패킷'이 나간다(STA → AP). 이 패킷의 Flags 를 보면, '0x11 로서 PWR MGT : STA will go to sleep' 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후 suspend 모드로 들어가면서 resume 이 될 때까지 STA 로부터 나가는 패킷은 없다. 오직 AP 로부터의 Beacon 메세지 뿐이다.
- 전원키를 눌렀을 때, 'Request to send 패킷' 이 나간다(STA → AP). 패킷의 Flags 를 보면, '0x00 으로서 PWR MGT : STA will stay up' 가 설정되어 있다.
- 이후 'Null function 패킷' 이 나간다(STA → AP). Flags 는 '0x01' 이다.